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한 달, 한 계절, 그러다 한 해가 지났다…‘보통의 일상’은 어디쯤 오고 있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총’과 ‘쇠’가 아니라 ‘균’이었다. 2020년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은 것은 재러드 다이아몬드 교수가 말했던 인류 문명을 바꾼 세 가지 요인 중 ‘균’이었다. 국내 확진자가 발생한 지 20여일이 흐른 뒤에야 ‘코로나19’라는 이름을 갖게 된 왕관 모양의 바이러스는 1년 단위로 반복되던 풍경들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2020년 벽두부터 하늘길이 닫히기 시작했다. 중국 우한을 시작으로 국경을 가로지르는 하늘길은 끊어졌고, 6주 만에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는 셧다운됐다. 사람의 길도 한산해졌다. 연말이면 발 디딜 틈도 없었던 명동의 밤거리는 적막감이 감돌았다. 기찻길 풍경도 달라졌다. 감염 고위험군에 속하는 한 노부부는 투명 얼굴 가리개를 쓰고 역귀성 열차에 올랐다. 관혼상제는 물론 졸업 및 입학식 등 축하하고 위로받는 풍경도 변했다. 식사 대신 선물, 온라인 입학식, 승용차 졸업식 등 감사와 위로, 축하의 감정은 멀리서 혹은 간접적으로 교감해야 했다.

2020년 인류는 ‘코로나19’라는 거대한 바이러스 폭탄을 맞았다. 이제는 익숙해질 법도 한 마스크 쓴 일상은 여전히 답답하고 낯설고 불편하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비대면 접촉이 더 확산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2022년 1월20일에 되돌아보는 사람 사는 풍경은 더 쓸쓸해질까?

마중·배웅이라는 ‘정’
그리움이 쌓이고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같은 장소인 서울역이지만 코로나19 발생 후인 2020년 추석연휴 노부부의 역귀성 풍경(아래 사진)은 애잔한 모습이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함께 나누는 ‘기쁨’
아쉬움이 남고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축하받는 졸업식의 즐거움은 여전하다. 방법이 다를 뿐이다. 2019년 8월에 열린 경희대학교(위 사진)와 2020년 8월 홍익대학교에서 열린 승용차 안의 졸업식 장면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떠난다는 ‘설렘’
답답함이 늘고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여름휴가철이면 북적이던 인천국제공항 출발층(위 사진, 2019년 8월)이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2020년 8월에는 여행객이 없어 한산한 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계절을 누리는 ‘즐거움’
두려움에 갇혔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서울광장에 겨울이면 개장했던 야외 스케이트장(위 사진, 2014년 12월) 대신 2020년 12월17일 임시선별검사소가 설치되자 많은 시민들이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부

▶ [인터랙티브] 그 법들은 어떻게 문턱을 넘지 못했나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