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여기는 중국] 중국인 10명 중 7명, 매일 모바일 결제 사용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베이징에 거주하는 개인 사업가 왕레이(34) 씨. 왕 씨는 지난 2016년부터 베이징 하이덴취(海淀) 일대에서 소규모 사설 교육 학원을 운영해오고 있다. 주로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동양 철학 및 인문학 수업을 진행 중인 왕 씨의 강의료는 전액 위챗페이(微信支付)와 알리페이(支付宝)·유니온페이(银联)의 윈산푸(云闪付) 등 모바일 결제 방식으로 수령해오고 있다. 현금 결제 방식도 가능하지만, 다수의 학부모들이 모바일 결제 방식으로 학원 수업료를 지불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왕 씨는 “방학 또는 명절 연휴 기간 중 단기간의 자녀 교육을 위해 멀리서는 해외에서 수업 문의를 하는 학부모들도 있다”면서 “학원을 직접 찾아오지 않은 채 쉽게 자녀들을 학원에 등록하려는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모바일 결제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후난성 창사(长沙)에 거주하는 직장인 손락 씨(35)의 사례도 이와 유사하다. 한·중 전문 통역사로 근무 중인 손 씨는 이 일대 방송국이 제작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통역을 담당해오고 있다. 손 씨 역시 계약한 업체로부터 담당 업무에 대한 월급 수령 시 모바일 결제 방식을 선호한다.

그는 “통역 업무 담당 시 업체 측에서는 일반 시중 은행 계좌로 돈을 입금하거나 모바일 결제 방식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면서 “이 경우 일반 은행 계좌보다는 모바일 서비스로 입금 받는 것을 선호한다. 수수료가 없거나 저렴한 것도 좋지만 일반 은행 이용 시 장소적, 시간적 제약이 있다는 단점을 극복한 것이 바로 모바일 결제 방식이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일 타 지역에 소재한 시중 은행 또는 지점에서 돈을 송금 받을 경우 최대 50위안(약 7500원) 상당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면서 “이런 불편과 고액 수수료 등의 문제 탓에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월급을 수령하려는 직장이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최근 중국 내 모바일 결제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지불청산협회는 지난해 기준 약 74%의 사용자가 매일 모바일 결제를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0일 공개했다. 이는 지난 2019년 대비 약 4.4% 증가한 수치다.

이들이 조사한 ‘2020년 모바일결제 사용자 설문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 결제를 사용한다고 답변한 이들의 가장 큰 이유는 사용의 편리성을 꼽았다. 특히 이 시기 중국의 모바일 결제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소액 결제의 비중이 크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건당 결제 금액은 100위안(약 1만 7000원) 미만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같은 시기 500위안(약 8만 5030원) 이상의 결제 비중은 소폭 감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건당 100위안 미만 결제한 사용자의 비중은 38.4%를 차지, 기준 년도 대비 23.3% 증가했다. 반면 500~1000위안(약 8만 5030원~17만 원) 대의 결제 비중은 16.4%를 차지, 기준 년도 대비 18.9% 감소했다. 이 같은 소액 결제 비중의 증가는 중국 내 버스, 지하철, 편의점 등 모든 분야에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정착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인롄전자결제유한회사 쑨잔핑(孙战平) 총재는 “국내 모바일 결제 인프라 구축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진척됐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현상”이라면서 “소액 결제 비중의 증가는 이용자의 편리성과 소비 촉진 측면에서 모바일 결제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향후 소비자의 일상 생활 속 소비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같은 기간 중국인들이 가장 높은 사용 비중을 보인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위챗페이로 나타났다. 이어 알리페이와 윈산푸 등이 그 뒤를 따랐다. 반면, 일각에서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에 대한 보안의 위험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보고서는 보안의 취약성은 모바일 결제 사용자가 우려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휴대전화 바코드 스캔 시 위·변조의 가능성 △모바일 가상 계좌 도용 등의 우려가 지적됐다. 실제로 지난해 모바일 결제 이용 시 발생한 보안 문제 중 약 74.9%가 개인 정보 유출과 관련한 사건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쑨 총재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I 등 신기술이 이 분야에 끊임없이 적용되고 있다”면서 “향후 보안 제어 시스템은 하루도 빠짐없이 새로운 기술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점점 더 안전한 시스템 하에서 안심하고 편리한 결제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