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KT, 감염병 연구 앱 개발…“국민 자발적 참여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KT가 인공지능(AI) 기반 감염병 대응연구를 위해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는 앱을 내놓았다.

KT(대표 구현모)는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이하 게이츠 재단) 지원을 받아 진행하는 AI‧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대비 솔루션 개발을 위해, 연구 데이터 수집을 위한 'SHINE(Study of Health Information for Next Epidemic,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보건 정보 연구)' 앱을 출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4월 KT컨소시엄과 게이츠 재단은 각 60억원씩 공동출자해 감염병 확산방지 연구를 위한 '감염병 대비를 위한 차세대 방역 연구' 지원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국내 협력 기관인 ▲고려대학교 의료원 ▲모바일닥터 ▲메디블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감염병 대응 연구에 착수한 바 있다. KT는 국내 협력기관과 연구용 앱 'SHINE'을 공동개발했다.

이 앱은 사용자 주변 코로나19 등 질병 발생 현황을 알려주며 발열, 두통, 기침 같은 독감 유사 증상을 입력하면 감염병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는 블록체인을 적용해 안전하게 보관되며, 참여 의사를 밝힌 사용자에 한해 감염병 확산 연구에 활용된다.

이번 감염병 연구 데이터 수집은 두 가지 방법으로 참가할 수 있다. 우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김우주 교수팀이 국내 3개 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과 함께 진행하는 임상연구다.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 동의를 받고, 호흡기 검체 채취 검사로 정확한 감염병을 진단한다. 이후 참여자가 입력하는 감염병 증상 데이터를 수집해 연구에 활용한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SHINE 앱을 내려받아 이용하면 된다.

KT와 컨소시엄은 앱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 AI 기반 감염병 대응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KT는 고려대학교의료원과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경로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 모바일닥터와 이용자 감염병 증상과 과거 동선기록을 분석해 독감, 코로나19의 감염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한다. KISTI는 통신사 로밍 데이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언론기사 등을 활용해 해외에서 발생한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예측하는 모델을 내놓는다. 메디블록은 연구 참여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한다.

게이츠 재단 앤드류 트리스터 디지털보건혁신국 부국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은 공공보건 개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병원균 확산을 신속하게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국가와 지역의 중요성을 보여줬다'며 'KT 최첨단 솔루션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저소득층에 제공해 감염병 대비와 대응력을 높일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KT 미래가치추진실 김형욱 부사장은 'KT는 이번 연구를 통해 독감과 코로나19를 포함한 신∙변종 감염병 조기진단으로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며 '한국 ICT 역량을 활용한 감염병 대응 기술이 글로벌 방역에 선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많은 국민들의 적극적인 연구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