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가공간정보 통합체계 구축 속도…1단계 사업완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활용체계 구축

뉴스1

국가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구성도(국토교통부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노해철 기자 = 국토교통부는 국가공간정보의 통합·활용 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한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 1단계 사업'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으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광주센터와 대전센터로 분산됐던 전산자원을 광주 G-클라우드로 통합 구축하고 필요한 전산자원을 새롭게 도입했다.

시스템별로 산재되어 활용 중이던 외산 소프트웨어에 대해 오픈소스 및 국산 소프트웨어 대체를 통해 유지비용 절감 및 국내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

또 국토정보시스템의 통계 테이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에서 파일로 보관 중인 속성·도형정보(약 1960건)에 대해 표준화를 적용한 통합DB로 구축했다. 이에 대한 공간정보 품질검사 및 생산기관의 오류정비 지원 체계를 함께 마련했다.

k-지오플랫폼(K-GeoPlatform)이라고 명명한 공간정보 개발 프레임워크를 구해 좌표변환, 공간분석 등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각종 API를 제공해 플랫폼 내에서 각종 개발 편의기능을 구축했다.

아울러 기존 공간정보드림(Dream)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던 지도드림(공간정보를 활용한 각종 지도 자유 제작), 통계드림(건물, 토지, 가격 관련 통계에 기반을 둔 주제도 및 차트 등 각종 시각화 분석), 모두드림(센터 보유 데이터 신청 및 습득) 서비스를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으로 이식하면서 기능을 강화했다.

국토부는 3D 환경을 통한 경관심의 기능을 마련해 3차원 지도상에서의 조망권 및 일조량 분석 등을 통한 정책지원 서비스 여건을 마련했다.

국가공간정보센터는 2009년 5월 설립 이래 45개 기관, 73개 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각종 국가공간정보를 수집해 제공하는 허브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상이한 시스템 환경과 분리된 운영장비 위치로 관리가 불편하고, 시스템 노후화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면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왔다.

이에 국토부는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 사업을 통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단계에 걸쳐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클라우드 기반의 국가공간정보 융·복합 활용체계를 마련해 공유함으로써 향후 5년간 약 900억원(연간 180억원)에 이르는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며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에 대한 기술적 부담 경감 및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창출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un9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