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공주 갑사 대웅전·의성 대곡사 범종루·순천 팔마비' 보물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공주 갑사 대웅사 정면.(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공주 갑사 대웅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의성 대곡사 범종루',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순천 팔마비' 등 3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6일 밝혔다.

공주 갑사 대웅전은 정유재란 이후 갑사에서 가장 먼저 재건된 건축물 중 하나이다.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면서 대체로 원형을 유지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 내부의 '갑사소조삼세불'(보물 제2076호)이 1617년에 만들어졌고, 1659년에 '갑사사적비'가 세워지는 과정을 고려하면 갑사 대웅전의 건립연대는 17세기 초로 파악된다.

갑사 대웅전은 17세기 건축으로서 전환기 건축의 특징을 지닌다. 정면 5칸, 옆면 3칸의 맞배집의 구성인데 정면이 5칸이면서 맞배지붕을 한 사례는 많이 남아 있지 않다.

또한 정면과 배면 공포의 형식이 동일하고, 기둥 간격이 정면 중앙 3칸이 12척, 측면과 나머지 주칸은 8척으로 나타나 기둥을 일정한 간격으로 간결하게 배치하고 있다.

뉴스1

의성 대곡사 범종루 정면 모습.(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는 '대곡사 창건 전후 사적기'의 기록에 따르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병화로 전소돼 17세기 중·후반인 1644년에서 1683년 사이에 중창됐다.

범종루는 정면 3칸, 옆면 3칸의 2층 누각 건물로, 기존에 남아 있는 누각 건축 중에서도 이른 시기인 17세기 전반의 특징을 가진다고 파악된다.

누각의 하부 기둥은 자연곡선이 살아있는 기둥이며, 대들보는 대개 단일부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나 범종루는 같은 크기의 부재가 2단으로 걸려 있다.

기둥 사이에도 포를 둔 다포계 양식이나 중앙 칸에 화반을 사용했다. 이런 점은 주로 주심포와 익공양식에서 많이 쓰이는 형식으로 다포, 주심포, 익공의 공포양식이 고루 나타나는 절충적인 건물이라 할 수 있다.

화반은 중앙칸에 올려져 상부가구를 받고 있는데 이는 상부구조를 견디기 위한 의도적 구성이며, 정‧배면이 좌‧우측면보다 크고 화려하게 조각했다.

뉴스1

순천 팔마비 전경.(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순천 팔마비'는 1281년(충렬왕 7) 이후에 승평부사 최석의 청렴함을 기리기 위해 승평부(지금의 순천)에 건립한 비석이다.

최석의 행적과 승평부의 읍민들이 팔마비를 건립한 사실은 '고려사'의 열전에 나타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승평부에서는 수령이 교체되면 말 8필을 기증하는 관례가 있었는데, 최석은 승평부에서 기증한 말을 타고 비서랑의 관직을 받아 개성으로 떠난 후 자신이 기증받은 말과 자신의 말이 승평부에 있을 때 낳은 망아지까지 돌려보냈다.

이후 승평부에서는 임기를 마치고 떠나는 수령에게 말을 기증하는 폐단이 사라졌고, 읍민들은 최석의 청렴한 공덕을 기리기 위해 팔마비를 세웠다고 했다.

비석은 고려말 처음 건립된 이후 1300년대 초반 쓰러졌으나 다시 세워졌고, 이후 정유년(1597년, 선조 30)의 병란으로 완전하게 훼손됐다. 그러나 1616년 부사로 부임해 온 이수광에 의해서 1617년 다시 건립됐고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현재까지 온전하게 전해졌다.

이수광이 중건한 팔마비의 '팔마비'(八馬碑) 세 글자는 진사 원진해의 글씨이고, 뒷면에 기록된 음기(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는 이수광이 짓고 동지사 김현성이 글씨를 썼다.

순천 팔마비는 건립된 이후 중건시기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순천 지역을 대표하는 중요 유물로서의 위상과 13세기에 처음 건립되었다는 역사적 유래가 있고, 1617년에 순천부사 이수광이 중건한 비의 실물이 현전해 4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팔마비의 주인공인 최석을 청렴한 지방관의 표상으로 삼아 현재까지 이어온다는 점에서도 보물로서 역사, 예술, 학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이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문화재 3건에 대해 30일간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lg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