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산업부, 올해 전기·수소·자율주행차 R&D에 279억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팩 경량화 기술 개발

대형 수소차 연료전지 내구성 확보

자율차 국제 안전 기준 대비 나서

뉴시스

[세종=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친환경 전기·수소차 핵심 부품 개발과 자율주행 산업 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신규 연구개발(R&D) 사업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은 전기차 초고속 충전설비 ‘하이차저(Hi-Charger)’를 이용해 전기차를 충전하고 있는 모습. 2021.01.21.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친환경 전기·수소차 핵심 부품 개발과 자율주행 산업 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신규 연구개발(R&D) 사업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추진되는 신규 R&D 과제는 24개로 27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전기·수소차 핵심 기술인 에너지 저장, 구동·전력 변환, 공조·열 관리, 수소연료전지 등 4개 분야 8개 과제에 104억원을 지원한다.

이 자금은 전기차 주행 거리를 늘리기 위한 배터리팩 경량화 기술 개발과 열 관리를 위한 고효율 전동 압축기 기술, 근접 공조 기술 개발 등에 쓰일 예정이다.

또한 대형 수소 상용차의 연료전지 스택 내구성 확보, 대형 수소저장용기 성능 향상, 수소 저장 시스템용 고압 대유량 요소 부품 기술 개발 등도 집중 지원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재사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R&D도 진행된다. 이와 관련된 3개 과제에는 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다른 응용 분야 저장 장치로서의 가치를 분석하고, 재사용 배터리 모델 개발, 재사용 배터리 적용성 평가·검증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게 된다.

자율주행 산업의 경우 총 847억원을 들여 3개의 신규 사업을 진행한다.

올해에는 약 145억원이 투입되며 초안전 플랫폼, 다목적 편의 서비스, 자율주행 언택트 서비스 활성화 등을 지원하게 된다.

초안전 플랫폼은 자율주행차 국제 안전 기준에 대비해 자동차의 고장 제어·예지, 위험 최소화 운행, 비상 운행 등 다중 안정 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이다. 5개 세부 과제에 282억원(올해 58억원)을 지원한다.

편의 서비스 관련 R&D는 모바일 오피스, 이동형 게임방, 라이브 광고판 등 자율주행 기반 서비스의 기술 개발과 실증을 위한 것으로 3개 세부 과제에 273억원(39억원)을 지원한다.

언택트 서비스는 무인상점, 헬스키어 등 비대면 서비스 실증·상용화를 위한 사업으로 5개 과제에 289억원(48억원)이 투입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전기·수소차 핵심 기술과 자율주행차의 글로벌 선도 기술을 확보하겠다"며 "지속 가능한 신시장 창출과 사업화가 촉진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사업부는 이번 신규 과제 이외에도 18개 사업, 94개의 미래 자동차 R&D 사업에 올해에만 총 140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