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전주 옛 도심서 조선시대 '전주부성 성벽' 기초시설 발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전주 도심서 발굴된 전주부성 성벽 시설
[전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전북 전주 옛 도심에서 조선시대 전주를 둘러쌌던 전주부성(全州府城)의 성벽 일부가 발굴됐다.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해 11월부터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전주부성의 성벽(1구역)과 성벽 바깥부분(2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전주부성 북동편 성벽의 윤곽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전주부성은 영조 10년(1734년) 전라감사 조현명이 허물어진 성을 둘레 2천618보, 높이 20자, 치성 11곳, 옹성 1곳 등으로 크게 고쳐 쌓은 것으로 '전주부성 축성록'에 전해진다.

전주부성 북동편 성벽의 기초시설이 발견된 1구역은 한국전통문화전당 인근(완산구 경원동3가 28-5번지)이다.

발굴된 성벽은 부성 하단의 1∼2단이 잔존하는 상태로, 성벽의 폭은 5.2m다.

현재까지 조사된 체성(体城)의 길이는 26m, 잔존 높이는 40㎝ 내외인 것으로 알려졌다.

성벽은 점토와 기와편으로 다짐을 한 뒤 그 위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벽은 석재를 가로 방향으로 쌓았으며 외벽은 길이 70∼90㎝의 큰 석재를 하단 석으로 사용하고,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는 다양한 크기의 돌을 채워 넣어 구축했다.

연합뉴스

전주 도심서 발굴된 전주부성 성벽 시설
[전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시는 전주부성 성벽 일부가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됨에 따라 이 용지(4천397㎡)를 매입해 전라감사 조현명이 쌓은 성곽을 복원할 예정이다.

전주부성은 전라남·북도와 제주도를 관할하던 전라감영을 비롯한 관청과 백성을 보호하고, 조선왕조의 뿌리로 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보관된 경기전과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고 있는 전주사고(全州史庫) 등을 지키는 역할을 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문헌으로만 확인됐던 전주부성의 기초 부분이 실제로 확인됐다"며 "확인된 성벽 일부의 구체적 축조방식을 살펴보고 복원 및 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icho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