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주민의견 수렴해 공공서비스 개선·지역문제 해결…R&D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공조달 혁신제품개발·지역주민 참여형 사회문제해결에 300억원 투입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공공성이 높은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연구자가 기술개발에 힘쓴다.

수요자와 연구자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과학 기술적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리빙랩'에 기반을 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정부는 기술개발과 공공 조달을 연계해 상품 출시를 돕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 조달 연계형 혁신제품 개발과 지역주민 참여형 사회 문제해결 등에 300억원을 투입하는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과 실증 작업에는 50억원을 지원한다. 공공서비스 개선처럼 필요하지만, 제품이 없는 경우 기술개발부터 공공 조달까지 연계해 제품을 개발할 수 있게 돕는다.

정부는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수요를 발굴하고 연구자와 수요기관이 함께 기술개발과 적용방안을 도출하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 7월부터는 5개 과제를 선정해 기술개발에 착수한다.

이후 과기정통부는 개발기술이 공공 조달과 연계될 수 있도록 조달청과 협업한다.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연구자가 함께 참여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R&D)에는 57억원을 지원한다. 이중 신규과제에는 37억원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6월께 지역문제 수요조사를 하고, 문제를 해결할 연구자와 지역주민이 함께 해결방안을 기획하도록 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은 내년부터 시작한다.

다양한 재난 상황에 응용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재난 안전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에는 40억원을 투자한다.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의 수요를 조사해 4월께 사업을 공모하고 7월 중 사업을 시작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처럼 예상하지 못한 재난 안전 문제에 대응하는 R&D 지원에는 70억원을 투입한다.

정밀재활치료 등 재활 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에는 50억원을 들인다.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업해 재활 관련 건강 데이터를 확보하고 올해 2분기 중 기술개발을 시작한다.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jungl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