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SK넥실리스, 말레이시아에 첫 해외 공장…"동박 세계 최대 생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3년까지 6천500억원 투자해 연산 4만4천톤 생산거점 건설

말레이, 미국, 유럽 등서 추가 투자 예정…2025년까지 생산 5배 확대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동박 제조사인 SK넥실리스가 말레이시아에 첫 해외 생산거점을 건설한다.

SK넥실리스는 26일 이사회를 열고 첫 해외진출 부지를 말레이시아 사바주(州) 코타키나발루시(市) KKIP공단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2023년까지 6천500억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 4만4천t(톤)의 생산 거점을 건설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에 착공해 2023년 상업 가동하는 것이 목표다.

말레이시아 공장이 완공되면 SK넥실리스의 생산능력은 지금보다 3배 수준인 10만톤 규모에 이르게 된다.

연합뉴스

SK넥실리스의 전기차 배터리용 동박
[SK넥실리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K넥실리스는 말레이시아 공장을 업계에서 최초로 사용 전력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RE100'을 완전히 이행한다고 밝혔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강화하고, RE100 소재 비중을 확대하길 원하는 주요 고객사의 요청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SK넥실리스는 SK그룹 계열 화학·소재업체인 SKC[011790]의 자회사다. SKC가 동박 제조업체 중 1위사인 KCFT를 지난해 초 인수한 뒤 사명을 라틴어로 '연결'을 의미하는 SK넥실리스로 변경했다.

SK넥실리스는 말레이시아가 동박 제조에서 핵심인 전력을 공급하는 데 유리해 첫 해외 생산거점으로 결정했다.

말레이시아는 전력 공급이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공급 가격도 국내의 절반 수준이다. 또한 수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이 많아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특히 코타키나발루는 공장 후보지 중에서 전력 비용이 가장 낮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수출에 필요한 항구와 대규모 국제공항이 있으며 가스, 용수 등 기반 인프라도 우수하다.

확보 가능 부지 규모는 국내 정읍공장의 3배 규모인 40㎡이며, 앞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SK넥실리스는 밝혔다.

연합뉴스

SK넥실리스 정읍공장
[SK넥실리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K넥실리스는 코타키나발루 공장에 기술력과 노하우를 집약한 자동화 시설을 도입해 스마트 공장 수준의 세계 최고 동박 생산시설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SK넥실리스는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의 수요에 대응해 말레이시아와 유럽, 미국 등에서 후속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회사는 동박 생산 가동률이 100%이며, 추가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2025년까지 현재의 5배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김영태 SK넥실리스 대표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배터리용 동박을 가장 길고 넓게 생산하는 최고의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을 고객사 요청대로 생산하는 방식에 걸맞은 시설을 구축하겠다"며 "말레이시아 진출로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고 추가 투자도 지속해 세계 1위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shin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