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책]인류 먹여살릴 방법 찾는 '모험가'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류를 식량 위기에서 구할 음식의 모험가들

아만다 리틀|436쪽|세종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인간의 삶에서 꼭 필요한 것이 의식주다. 그 중에서도 음식은 생명 유지를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6000년 전 인류가 더 많은 곡식을 거두기 위해 쟁기를 발명한 것처럼 인류의 역사는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과 혁신이 이끄는 방향으로 이어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1세기가 된 지금도 식량 문제는 언제든 인류를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는 과제다. 세계 인구가 80억 명에 가까워졌지만 세계적인 팬데믹과 기후변화까지 겹친 작금의 상황은 지구상 모든 국가에 식량 공급이 지속 가능할지 의문을 품게 한다. 그러나 해법은 있다. 기후변화와 테크놀로지를 통해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모험가들’이 있기 때문이다.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져온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바로 이 모험가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대형 로펌을 거절하고 사과 크기를 일일이 측정해 스프레드시트에 정리하는 젊은 농부, 실리콘밸리의 잘 나가는 임원 자리를 박차고 나와 제초제 대신 잡초만 골라 제거하는 로봇을 개발 중인 엔지니어 등 생소하면서도 흥미로운 사례들이 가득하다. 퀴노아 같은 슈퍼 푸드를 찾고자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고 있는 연구자, 소를 사육하지 않고 대신 고기 세포에서 새로운 고기를 만들어내는 배양육 실험 등 ‘모험가들’이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고 있는 다양한 시도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먹는 문제’에 주어진 중요한 과제는 지금의 산업형 농업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눈앞에 보이는 문제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산업형 농업을 통해 식량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지만, 오히려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 됐다는 것이다. 인류의 미래는 이들 ‘모험가들’의 도전 결과에 달려 있는지도 모른다. 이들의 이야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