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삼성전자, 생활가전 OEM 확대...中企와 ‘윈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 '생산 효율화',OEM업체 '기술력 검증'…시장 수요 빠른 대응 장점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코로나19에도 국내 가전 시장은 호황이다. 가전업체는 청정,위생가전 중심 신제품 출시를 강화했다. 삼성전자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는 자체 생산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 병행 전략을 취하고 있다. 중소기업과 '윈윈'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경쟁력 향상을 위해 국내 중소기업과 협업을 늘리고 있다. 신규 시장에 진출하는 제품이나 소형가전 중심으로 삼성전자가 디자인,기술,개발을 하고 생산을 맡기는 방향이다.

지난 12일 공개한 '비스포크 정수기'가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처음 가정용 정수기 시장에 진출했다. 정수기 전문업체 오비오가 제조한다. 2018년 첫 선을 보인 의류관리기 '에어드레서'는 DH글로벌이 담당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활가전 OEM 전략은 양쪽 다 이득이다. 삼성전자는 위험부담을 덜 수 있다. 생산시설 및 고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중소기업 분야 진출에 대한 비판도 피할 수 있다. 중소기업은 매출 확대 기회다. 상대적으로 약한 브랜드 가치를 보강할 수 있다. 기술력을 갖춘 업체라는 간접적 검증을 받을 수 있다.

삼성전자 OEM업체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품질을 까다롭게 보기로 유명하다'며 '의뢰 업체에서 요구한 대로 만들 수 있는 라인이나 기술력, 설비 같은 시스템이 구축돼있어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삼성 제품 생산하는 건 품질이 뒷받침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삼성전자 OEM업체들은 관련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기술력을 쌓아온 전문 기업인 경우가 많다. 오비오는 자체 브랜드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지 않지만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선정한 글로벌 강소기업 200개사 중 하나에 포함됐다. DH글로벌은 냉장고를 많이 다룬 경험을 바탕으로 냉장고와 모양과 형태가 비슷한 에어드레서를 맡게 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OEM 제품은 디자인과 기술개발 등 다 직접하고 생산만 그 분야 노하우가 있는 업체들에 위탁하고 있다'며 '라인을 새로 만들고 하는 것에 대한 비용을 줄이는 것이지 (개발,인력 등) 다른 비용을 줄이는 게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안나 기자>anna@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