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지난 19일부터 박물관이 재개함에 따라 지하 1층에 자리한 '궁중서화실'에서 궁중회화의 진가를 고스란히 담은 '요지연도'를 포함해 병품 세점을 전시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
특히 이 병풍의 장황(비단이나 두꺼운 종리를 발라서 꾸밈) 상태가 제작 시기보다 후대로 추정돼 경매 당시 표구 시기에 관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분분했다. 확인을 위해 병풍 한 폭의 뒤편 배접지(종이, 헝겊 널조각 따위를 여러 겹 포개어 붙인 종이)를 살펴본 결과 1957년 조선일보 신문과 1959년 동아일보 신문이 발견돼 소장자가 미국에 가져가기 전 한국에서 다시 표구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지연도'는 중국 고대 전설 속 서왕모가 신선들의 땅인 곤륜산의 연못인 요지에 주나라 목왕을 초대해 연회를 베푸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불로장생의 도교적 주제를 담은 신선도는 국가와 왕조의 오랜 번영을 염원하는 뜻을 담아 조선 후기 궁중을 중심으로 유행했다.
|
이번 전시에는 근대기에 제작된 '신선도' 12폭 병풍을 함께 전시해 관람객들이 조선 후기 궁중 신선도의 시기적 변화를 감상할 수 있게끔 했다. 화폭마다 중국 고사에 등장하는 길상적인 의미를 지닌 신선들이 묘사돼 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신선도는 궁중과 민간에서 복을 기원하고 무병장수의 소망을 담은 장식화로 꾸준히 유행했다. 먹의 번짐 효과를 극대화한 발묵법으로 그린 근대기 도석인물화의 특징을 보인다.
|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대규모 해상 전투에 대비한 훈련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통영에 삼도수군통제영을 세우고, 매해 봄과 가을에 합동 해상 훈련을 개최했다. 이때는 통영으로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삼도 수군이 모두 모였으며, 수군조련도는 이 모습을 기록한 그림이다. 그림을 통해 조선 후기 해상 전투를 위한 배(전선)의 모습과 수군의 배치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