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한컴-네이버, 클라우드 위성 기지국 공동 구축... 민간 위성 시장 선점 나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컴인스페이스, 위성 관제·위성정보의 처리 및 분석·관리·배포 연구... 네이버클라우드는 지상국 시스템의 컴퓨팅·네트워크·데이터보안 구축

AWS, MS 등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완전 관리형 위성 기지국 사업 국내서 재현

아주경제

한컴 인스테이션 플랫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가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이 추진 중인 클라우드 위성 기지국(지상국) 서비스를 시작한다. 막 기지개를 켜고 있는 국내 민간 위성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국내 스타트업과 연구진이 초소형 위성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컴인스페이스가 위성정보 활용 대중화와 보급 확산을 위해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 지상국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상국에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해 보다 경제적이고 유연한 지상국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한컴인스페이스는 항공우주 분야에서 축적한 지상국 구축 기술 및 노하우를 활용해서 위성 관제, 처리 및 분석, 관리, 배포 등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네이버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자 서비스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 분야를 맡을 예정이다.

양사는 우선 공공성 과학 데이터 관측을 위한 위성정보 서비스 지상국 구축을 기획 중이며, 이후 다양한 완전 관리형 지상국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서비스 기획 초기 단계인 만큼 서비스 이용 비용이나, 구체적인 서비스 플랜은 미정이다.

최근 초소형 위성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위성을 쉽고 저렴하게 개발·발사·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위성정보의 가치와 활용도도 함게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위성 정보를 관리·활용하기 위한 지상국은 높은 구축 비용으로 인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지상국 시스템에 탄력적 컴퓨팅, 원활한 접근성, 안정적 데이터 보관 등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고 있다. 해외에선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가 각각 '그라운드 스테이션', '애저 오비탈' 등 클라우드 기반의 지상국 시스템을 구축해 서비스에 들어갔다. 다만 이들의 지상국은 네바다 등 미국 중부에 위치해 있어 국내에서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한컴인스페이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러한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움직임을 벤치마킹해 위성을 개발·운영하려는 국내 민간 사업자와 연구진을 위한 클라우드 지상국 시스템을 만드는 게 목표다. 국내에 지상국을 설치하는 만큼 더 효과적으로 초소형 위성을 운영·관리할 수 있다.

임태건 네이버클라우드 상무는 "국내 항공우주 지상국 분야 대표 기업인 한컴인스페이스와 함께 국내 첫 클라우드 지상국을 구축하여 대한민국 항공우주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상의 데이터를 넘어 우주 관련 정보도 클라우드 상에서 안전하게 다뤄질 수 있도록 안정적인 클라우드 기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미래 먹거리 산업인 클라우드 분야와 고부가 가치 정보 산출이 가능한 항공우주 분야의 협업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계에 변혁을 도모하는 동시에 클라우드 지상국 분야를 선도해나가겠다. 이번에 개발하는 기술은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해 위성정보 활용의 대중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우주·드론과 항공우주 지상국을 연구하는 기업이다. 저궤도와 정지궤도 위성의 각종 지상국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시험용 달 궤도선 프로젝트(KPLO)의 지상국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드론 무인 자동화 운영 시스템인 '드론셋(DroneSAT)'을 개발해 드론을 활용한 각종 모니터링과 분석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강일용 기자 zero@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