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원안위 "월성 원전 삼중수소 민간조사단, 객관성 확보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필요하다면 관련 규제까지 개선"

"개선점 도출 시 타 부지에 적용 검토"

뉴시스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7일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을' 2021년 업무계획' 브리핑을 열었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회의가 진행되는 모습.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2020.12.11.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월성 원자력발전소 부지 내 삼중수소 검출에 대한 의혹 규명을 위해 꾸려지는 민간조사단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원안위는 이날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린 '2021년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민간조사단과 관련된 기자의 질문에 이같은 입장을 보였다.

앞서 원안위는 지역주민과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월성 원전 부지 내 삼중수소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 조사단은 관련 학회로부터 추천을 받은 전문가로 구성된다.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 방식, 조사 범위, 활동 계획 등은 자율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조사단 운영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정부 입맛에 맞는 방향으로 결과를 내놓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에 손명선 원안위 안전정책국장은 "삼중수소가 나온 이유가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필요하다면 관련 규제까지 개선하기 위해 민간조사단을 전문가 위주로 구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사단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며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도출된 개선 방안은 다른 원전 부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손 국장은 "월성 원전의 경우 중수로 원전 특성상 삼중수소가 경수로보다 많이 발생하면서 집중 조명된 부분이 있다"며 "월성 원전 조사를 통해 마련된 제도 개선 방안은 다른 부지에도 적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부 의원을 중심으로 삼중수소 이외에 감마핵종도 외부 유출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손 국장은 "월성 4호기의 경우 사용후핵연료 저장소에서 감마핵종이 발견된 사례가 있어서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이에 대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며 "현재 시점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