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300억 물류비 폭탄'…시멘트업계, 화물차 안전운임 인상에 '울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TC 안전운임 올해 8.97% 인상…300억원 추가비용

내수 감소·환경규제 비용까지 엎친 데 덮친 격

이데일리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쌍용양회)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코로나19 여파와 건설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멘트 업계가 화물차 안전운임제 인상으로 300억원 규모의 추가 비용을 떠안게 됐다. 최근 시멘트 내수 출하량 감소와 1800억원 규모 신설 환경규제 비용에 시달리던 시멘트 업계는 “업친 데 덮친 격”이라며 당혹스러운 분위기다.

한국시멘트협회는 28일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인상에 대해 “인상 요인은 물론 산정 근거도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국토교통부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위원회는 개인사업자로 분류되는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주의 올해 안전 운임을 8.97%(일반 시멘트 기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인상으로 시멘트 업계가 추가로 부담하는 물류비는 약 300억원에 달한다. 안전운임제 시행 전인 2019년 물류비와 비교하면 2년 간 약 600억원이 오른 규모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시멘트 2차 제품인 몰탈과 험로 운송에도 각각 20%씩 추가 할증이 이뤄진다”며 “최대 40% 인상 시 전체 안전임으로 올해만 약 400억원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멘트 업계는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 안전운임 인상으로 악재가 겹쳤다는 입장이다. 지속적인 건설경기 침체와 저조한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로 최근 5년 간 부진을 거듭하며 지난해 시멘트 업계 내수 실적(잠정)은 2016년 대비 약 18%나 하락했다.

원가 상승도 만만치 않다. 시멘트 가격은 t당 약 6만2000원으로, 20여년 전과 큰 차이가 없다. 시멘트 원료인 유연탄 가격 역시 큰폭으로 오르내리며 수익성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시멘트 업체들은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등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투자 확대와 시멘트 가격 절반가량인 온실가스 배출권 구매비용(올해 t당 3만원 예상)까지 감당해야 한다.

시멘트 업계는 안전운임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표성’이라고 지적했다. 안전운임제는 현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화물자동차주에 적정운임을 보장함으로서 과로·과적·과속을 금지하되 기존 운송시장 혼란을 우려해 한시적인 3년 일몰제(2020~2022)로 도입됐다.

하지만, 무려 40만대에 달하는 전국 영업용 화물자동차 중 BCT차량은 1%도 안 되는 2700대에 불과해 한시적인 도입이더라도 대표성이 부족하다며 논란과 잡음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영업용 화물차 중 극소수에 불과한 BCT차량을 향후 안전운임제 운영에 필요한 바로미터로 활용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현장에서 혼란만 야기할 것이 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인상안 표결에 (시멘트 업계가) 보이콧을 했는데도 일방적으로 이뤄진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면서 “일몰제 종료와 함께 BCT차량은 안전운임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