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주유소에서 택배·충전·세차…현대오일뱅크 주유소 서비스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현대오일뱅크가 주유소를 활용한 플랫폼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8일 현대오일뱅크에 따르면, 2019년부터 셀프 스토리지 분야 스타트업인 메이크스페이스와 제휴를 맺고 셀프 스토리지 사업을 시작했다.

현대오일뱅크가 주유소 캐노피 상부, 사무동 등의 유휴 공간을 제공하고 메이크스페이스가 그 공간에 창고를 설치해 대여해주는 사업이다.

또 쿠팡과 협업해 특정 시간 대에 주유소 유휴공간을 로켓배송의 마이크로 물류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22곳인 물류 거점을 연내 50여 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세차 서비스는 스타트업과 제휴를 통해 그 동안 자동세차에 국한되었던 것을 프리미엄세차, 픽업세차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스팀을 사용해 차량 내부까지 청소해 주는 프리미엄세차로 자동세차와 손세차의 중간 틈새시장을 공략한다.

현재 12곳에서 시행 중인 이 서비스를 연내 30곳으로 확대한다. 프리미엄세차에서 한 단계 나아가 고객의 세차 시간까지 절약해 주는 픽업세차도 현재 사당셀프주유소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패스트푸드, 편의점의 입점도 지속적으로 늘려 가고 있다. 현재 직영주유소 26곳에 패스트푸드가, 110여 곳에 CU 편의점이 함께 있다. 특히 신규 주유소의 경우 설계 단계부터 유통 소매점 입점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개발하고 있다.

현재 직영주유소 20곳에 운영 중인 전기차 충전소도 2023년까지 200개로 확대한다. 주유소 외에도 수요가 늘고 있는 전기 화물차 시장 선점을 위해 주요 유통업체 물류 센터에 전용 충전소를 설치하고, 접근성 좋은 드라이브스루 매장, 대형 편의점에도 진출해 전국적인 전기 충전소 네트워크를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맞춰 수소 충전소 확대도 계획하고 있다. 2025년 80개, 2030년 180개, 2040년 300개까지 수소 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dlcw@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