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동학개미들의 주식 열풍

국제 은값, 2013년 이후 최고치…개미 투자자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은 ETF도 7.5% 급등...주식에서 관심 이동하는 양상
주식과 달리 롱포지션 많아 ‘게임스톱’ 효과 보지 못할 수도


이투데이

2013년 이후 은값 등락 추이. 단위 온스당 달러. 출처 블룸버그통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 은값이 개미 투자자의 집중 매수로 2013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은 3월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온스당 2.50달러(9.3%) 상승한 29.418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2013년 2월 이후 최고치로, 장중 한때 30.35달러까지 급등하기도 했다. 주요 은 상장지수펀드(ETF) 역시 이날 7.5% 올랐다.

지난주 게임스톱 주가를 400% 폭등시켰던 개미 투자자들이 은을 새 타깃으로 잡은 영향이라고 블룸버그는 풀이했다. 그동안 개미 투자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에 개설된 월스트리트베츠를 통해 특정 주식 집중 매수를 모의하고 실행에 옮겨왔다. 하지만 이날 게임스톱 주가가 30% 이상 하락하는 등 관심 주식들이 주춤하자 대상이 옮겨가는 모양새다.

블룸버그는 최근 며칠간 월스트리트베츠에서 은 매수 관련 게시물들이 올라왔다고 지적했다. 인기 게시물 중 하나는 “JP모건을 파산시키고 은을 사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JP모건은 과거 은값 조작 혐의로 거래소로부터 조사를 받은 바 있는데, 이를 공격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 주식 시장에서 '쇼트 스퀴즈(공매도 투자자들이 쇼트 주문 커버나 손실 방지를 위해 상품이나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 상황)'를 통해 재미를 봤듯이 은 시장에서도 이익을 내자는 의미에서 ‘실버스퀴즈’라는 해시태그가 소셜미디어에서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가고 있다.

다만 앞서 게임스톱 광풍 속에 뒤늦게 매수했다가 큰 피해를 본 사람들이 많은 만큼 시장 관계자들은 은 매수 역시 신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주식과 달리 은의 경우 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롱포지션을 취하는 헤지펀드들이 많은 만큼 쉽사리 결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귀금속 컨설팅 업체 메탈포커스의 필립 뉴먼 전무는 “(은값 상승이) 매우 감동적”이라면서도 “이 같은 현상이 당장은 대단한 헤드라인으로 장식되고 있지만, 사람들이 많은 돈을 잃는 것을 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투데이/고대영 기자(kodae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