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서울 · 세종 주택 가격 버블 위험…금리 인상에 대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과 세종 등 최근 집값이 급등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버블 위험이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글로벌 주택가격 상승 등으로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주택 금융시장에 대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 이태리 부연구위원은 국토이슈리포트 제34호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주요 도시의 주택시장에서 버블 위험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은행 UBS의 부동산 버블지수 산출식을 준용해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집값 버블지수를 추정한 결과 작년 기준으로 서울과 세종의 버블지수는 각 1.54로 측정됐습니다.

지수가 1.5를 넘으면 버블 위험이 있고 0.5~1.5는 고평가된 수준이며 -0.5~0.5는 적정 수준, -1.5~-0.5는 저평가된 것으로 봅니다.

서울은 그나마 버블지수가 2019년 1.60에서 작년 소폭 하락한 것입니다.

세종의 경우 버블지수가 2018년 0.86에서 2019년 1.05, 작년 1.54 등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작년 기준으로 저평가된 지역은 전북(-1.25), 경북(-1.06), 경남(-0.95), 충북(-0.71), 충남(-0.55) 등지였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글로벌 주택가격 상승의 원인은 저금리 기조, 유동성 증가, 주택공급 부족, 수급 불일치, 해외자본의 유입 등 국가마다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낮은 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은 공통적인 요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경기 회복에 따른 물가 안정과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예상하고, 주택금융 소비자의 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이를 위해 단계적 금리인상을 통해 체감 위험을 분산하고 상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다양한 주택금융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이 연구위원은 덧붙였습니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단독] '월성 원전 폐쇄 의혹' 공소장 전문 공개
▶ 코로나19 현황 속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