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2일 텍사스주 알라모에 있는 멕시코 국경장벽을 찾아 연설을 한 뒤 손가락으로 청중 쪽을 가리키고 있다. 알라모=AP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국가 기밀 브리핑을 받지 못하게 된다. 전직 대통령 중 처음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 CBS방송 인터뷰에서 전통적으로 전직 대통령에게 제공되는 기밀 정보 브리핑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는 주어지지 못하도록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그의 “도무지 예측하기 힘든(erratic) 행동”이 이유다.
이날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기밀 브리핑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에게 기밀 브리핑을 제공하는 게 무슨 가치가 있냐”고 반문하면서다. “실수로 무엇인가를 말할지도 모른다는 사실 말고 그가 무슨 영향을 줄 수 있냐”고도 했다.
미국의 전직 대통령은 퇴임 뒤에도 기밀 브리핑을 받는 게 관례다. 현재 지미 카터,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등 살아 있는 전 대통령은 전부 정례적으로 브리핑을 받고 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전 대통령에게 기밀 브리핑이 제공되는 건 예우 차원에서이기도 하지만 현직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한테 자문해야 하는 순간이 올 수도 있기 때문”이라며 “기밀 브리핑 제공 대상에서 제외되는 전직 대통령은 트럼프가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핵무기 발사 과정과 미 당국의 정보 수집 역량 등 중대 기밀이나 자기 임기와 관련한 기밀에 대해서는 임기를 마치고도 접근 권한을 계속 보유하는 전직 미 대통령이지만 기밀을 유출해도 법적 책임은 거의 지지 않는다. 다른 고위 당국자들과 달리 임기가 끝날 때 기밀 누설 금지 조항에 서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예우가 적용돼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았다. 지난달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전 그의 신뢰성 문제를 제기하며 퇴임 뒤 기밀 브리핑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애덤 시프 연방 하원 정보위원장(민주당)이 대표적이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