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통일부 "北 김정은 '국무위원장‧프레지던트' 호칭 적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북정상 합의서도 국무위원장으로 서명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일부는 지난 1월 8차 노동당 대회에서 ‘총비서’로 추대된 김정은의 공식 호칭으로 ‘국무위원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18일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공식 호칭을 정부나 언론에서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당국자는 "북한 헌법에서 국무위원회 위원장을 국가의 최고 영도자라고 규정하고 있기도 하고, 남북 정상 간 합의에서도 김정은은 '국무위원장 김정은'으로 서명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북한은 김정은을 칭할 때 ‘노동당 총비서’, ‘공화국 국무위원장’, ‘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등 행사 성격에 따라 3~4가지 여러 직함을 동시에 사용한다"며 "특정한 행사에서 어떤 직함에서 일부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크게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북한은 대내외 보도에서 김정은을 칭할 때 '노동당 총비서', '공화국 국무위원장', '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등 여러 직함을 동시에 사용한다. 이 가운데 '총비서'는 김정은의 노동당 내 공식 직함으로, 집권 초기 제1비서에서 지난 2016년에는 위원장으로, 지난 1월 8차 당대회에서는 총비서로 바뀌었다.

아울러 통일부는 김 위원장의 영문 명칭도 "영문 표기가 필요할 경우 북한 스스로가 변경한 대로 '프레지던트(President)'로 할 것"이라며 "북한 외무성 홈페이지와 조선중앙통신 영문판 등을 보면, 이미 2월초부터 '체어맨(Chairman)'을 '프레지던트(President)'로 변경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호칭 변경의 의미에 대해서 "북한이 변경 배경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아 통일부가 언급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면서도 "다만 전문가들의 해석을 보면 국제 사회에서 국가지도자를 지칭하는 일반적 호칭인 '프레지던트(President)'를 사용하는 쪽으로 명칭을 정리한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김해원 기자 momo@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