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경북도, 38년새 53만명 급감 … 포항시·봉화군 인구 사라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9년말 '초고령사회' 진입, 작년말 65세 이상 21.7%

경북도, 인구정책TF 긴급소집…'인구절벽' 완화 안간힘

아시아경제

사진은 지난해 5월12일 이철우 도지사가 경북도청을 찾은 강신욱 통계청장과 지역통계 컨설팅 추진 관련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경북도의 인구가 39년째 급격히 줄어들면서,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가속화되고 있다.


2019년말 20.6%로 '초고령사회'에 첫 진입한 경북도는 지난해말 21.7%로 높아지면서, 기초노령연금 수급 대상과 청년인구 비중(22.8%)이 비슷해지는 상황에 직면했다.


이와 관련, 경북도는 19일 인구정책 TF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경북도 인구정책 TF는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도청, 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 등 3개 기관 15개 부서로 구성돼 있다.


이날 회의는 도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과 도 15개 부서 실과장이 참석한 가운데 생애주기별 지원정책인 111개 과제에 대해 각 분야별 추진성과 및 문제점 등을 논의하고, 인구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달 27일 통계청(2020년 12월말 기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북지역 2020년말 기준 인구는 263만9422명으로 전년도(266만5836명)에 비해 2만6414명이 감소했다.

출산율도 10년 사이 46%나 급감 …
2011년도 2만4250명→202년 1만3045명

지난 1982년(317만6591명) 정점을 찍었던 경북지역 인구는 지난해말까지 38년 사이에 무려 53만7169명이 줄어들었다. 포항시(50만2736명·1월 행안부 통계)와 봉화군(3만1407명·〃) 2개 지자체 인구가 사라진 셈이다.


출산율 감소도 심각하다. 2011년 2만4250명이던 경북지역 신생아수는 지난해말 1만3045명으로 10년새 46%나 감소했다.


고령화 추세 또한 전국 평균치를 훨씬 웃돌고 있다. 지난 2014년 노인(65세 이상) 인구 14.2%를 기록한 우리나라는 2026년께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경북은 이미 2019년말 도달했다. 더욱이 경북 총인구 대비 청년인구(만19~39세)의 비중은 22.8%로 낮아지면서, 노인 인구와 데드크로스 시점도 멀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인구 절벽' 현상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묘안 찾기는 쉽지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초고령사회 공식 통계가 나온 지난해초에 '인구정책TF'를 구성, '탈경북' '비출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인구 감소 추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경북도는 올해에도 신혼부부 보금자리 임차보증금 이자지원(1개월 이내 도내 전입예정인 신혼부부까지 확대), 공공임대주택건설, 청년 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 등을 통해 결혼 및 주거부담을 완화하는 데 안간힘으로 쓰고 있다.


또 난임부부 및 고위험 임산부의 의료비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지난해 11월 울진 공공산후조리원 개소를 시작으로 김천, 상주지역까지 산후조리원을 늘리면서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강성조 경상북도 인구정책TF 단장은 "생애주기 별 지원정책의 성과를 면밀히 검토해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고, 인구위기 대응을 위한 신규 정책과제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pdw12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