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국내 백신 접종

코로나 백신 '1호 접종자' 둘러싼 논란에 정은경 "'실험대상'이라는 표현 적절치 않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은경 "예방접종을 진행하는 백신은 이미 임상시험 거쳐 안전성·효과성 확인되고 허가를 받은 것. 백신 맞는 모든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그런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세계일보

발언하는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호 접종자'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방역당국이 '실험대상'이라는 표현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예방접종을 진행하는 백신은 이미 임상시험을 거쳐 안전성·효과성이 확인되고 허가를 받은 것"이라며 "백신을 맞는 모든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그런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백신 '1호 접종자'가 돼야 한다는 주장을 놓고 공방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국가 원수가 실험대상인가"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었다.

방역당국은 현재로서는 코로나19 백신 국내 1호 접종자가 요양병원 종사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달 26일부터 요양병원·시설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접종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종 접종 기관과 대상자 등을 세부 조정하는 작업이 끝나는 대로 첫 접종자를 발표할 방침이다.

정 본부장은 이날 오전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국민 불신 해소를 위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먼저 맞을 용의가 있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이미 정해진 순서를 따라야 한다고 일축했다.

그는 "예방 접종은 현재 우선순위를 정해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갖추고 대상자 관리를 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정해진 순서에 맞춰서 접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다만 예방접종에 대한 국민 불안이 크고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사회 저명인사나 보건의료계 대표가 (먼저) 접종할 수 있다"며 "보건의료인 단체에서도 언제든 그런 접종을 기꺼이 할 수 있다는 의사를 주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그런 상황이 아니고, 접종 동의율이 상당히 높게 나왔기 때문에 순서에 따라 접종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