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 G20 회의서 "더는 주장 안 해"…갈등 빚은 프랑스 '환영'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 |
(워싱턴·파리=연합뉴스) 임주영 현혜란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26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의 디지털 과세 협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가 내세웠던 핵심 요구를 철회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이날 열린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화상회의에서 "미국은 더는 '세이프 하버'(safe-harbor) 규정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디지털세를 전체 기업에 의무적으로 부과하기보다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규정이다. 미 정보기술(IT) 기업을 겨냥한 과세에 맞서 이들이 세금을 내지 않게 하기 위해 미국이 주장해왔다.
프랑스는 디지털세 논의를 주도해 2019년 7월 유럽에서 최초로 제도화했다.
이를 놓고 미 IT 대기업이 표적이라는 해석 속에 트럼프 정부는 세이프 하버 체제를 제안했지만, 프랑스가 거부해 서로 보복 관세 카드를 꺼내는 등 갈등을 빚었다.
디지털세 (PG) [권도윤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은 기술기업에 더 높은 세금을 추구하는 유럽이 반대한 트럼프 시대의 제안을 포기했다"며 디지털 경제의 조세 제도에서 한 가지 걸림돌을 제거했다고 전했다.
디지털세 부과를 두고 미국과 갈등을 빚어온 프랑스의 브뤼노 르메르 재정경제부 장관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옐런 장관의 발표는 "엄청난 진전"이라며 "디지털 기업에 과세하는 국제적인 합의가 손이 닿는 거리에 와 있다"고 밝혔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은 "디지털세에 대한 글로벌 합의를 성사시키려면 갈 길이 멀다"며 미국과 유럽은 새로운 규칙의 범위를 놓고 갈등을 겪고 있고 조세 관할권과 집행 방안 등 다른 미해결 문제도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