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포스코,연이은 안전사고에도 '안전불감 승진 인사' 강행 …내외부 비판 쏟아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창호 기자(포항)(phjby@naver.com)]
지난달 22일 국회 환경노동위 청문회에는 포스코 최정우 회장을 비롯한 9개 기업의 대표들이 증인으로 출석해 국민에게 머리를 숙였지만 구체적이고 의미있는 대책이 없는 말 잔치로 끝나고 말았다.

특히 이날 여야 의원들의 질타는 3월 12일 주총을 앞두고 3년 연임의 절차를 마무리 지으려 하는 포스코 최정우 회장에게 집중되었다.

포스코에서는 2018년 이후 19명의 노동자가 산재사고로 숨졌으며 특히 지난해 11월 광양 제철소에서 3명의 노동자가 배관 폭발사고로 숨졌고 포항 제철소에서도 지난해 12월부터 2월까지 3명의 노동자가 숨졌다.

프레시안

▲계속되는 산업 재해에 대한 포항시민단체 기자회견 ⓒ프레시안(박창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3명의 노동자가 숨진 폭발사고 당시 광양 제철소 책임자이던 이모 광양 제철소장을 생산기술본부장으로 지난 12월 21일자로 승진시킨 것으로 알려져 최정우 회장의 대국민사과와 국회에서의 사죄와 대책도 진정성을 의심받고 있다.

이러한 이모 생산본부장의 승진 논란에 대하여 지역 시민단체 A씨는 "생산기술본부장은 포항과 광양의 제철소 전체를 총괄하는 자리라고 알고 있는데 지난해 11월 발생한 광양제철소 폭발 사고로 근로자 3명이 숨진 사고가 수습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당연히 그 책임을 져야 할 책임자를 승진시켰다는 것은 결국 포스코가 대외적으로는 안전을 기업 경영의 최고 가치로 삼겠다고 표방했지만 실제는 안전관리와는 무관하게 내부 충성도에 따라 승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포스코 사내하청 노조 관계자도 "안전책임자를 사장 급으로 격상해 보임한다는 대국민사과 당시의 대책에 대해서도 사고가 나도 책임자가 승진하는데 무슨 실효성이 있겠느냐"며 의문을 드러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한대정 위원장은 “ 사람이 3명이나 죽은 대형사고가 났으면 그 책임자는 경질이나 최소한 자숙의 시간은 가진다. 그런데 승진이라는 것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중대 재해 기업 처벌법’의 입법취지나 정부의 눈치 같은 전혀 고려하지 않겠다는 것 아니냐,이것이 어떻게 근로자의 안전을 기업 경영의 최고 가치로 삼겠다는 태도냐”고 반문했다.

한 지회장은 "이 사고가 나기 1년 전 2019년 12월에도 광양 제철소에서는 대형 폭발사고가 나서 1m짜리 파편이 수 km나 떨어진 이순신 대교까지 날아갔다"고 말했다.

이 사고로 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숨진 사람은 없었지만 이때도 광양 제철소장이 이모 소장이었다며 "이렇게 안전에 불감한 사람이 포스코의 생산을 책임지는 생산기술본부장이 되었다는 것에 많은 직원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포스코 내의 분위기를 전했다.

[박창호 기자(포항)(phjby@naver.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