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매각설 도는 씨티은행, M&A 여부에 관심 집중 "매력적인 매물 아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수가능성 제기되는 빅테크, 법적으로 인수 쉽지 않아

시너지도 기대 어려운 상황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미국 씨티그룹의 한국 한국씨티은행의 철수설이 다시 불거지면서 매물로 나올 가능성에 금융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부진한 실적과 신사업 진출에 소극적이었던 씨티은행이 매물로서 매력이 있느냐에 대한 시각이 엇갈린 가운데 지방금융사나 빅테크(대형정보통신기업) 등이 관심을 가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하지만 규모 대비 수입성이 떨어지고 인력과 점포 흡수 부담이 커 인수 주체를 찾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씨티그룹의 새 최고경영자(CEO)인 제인프레이저가 최근 그룹 전반적인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한국과 베트남을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상업은행(소매 금융) 영업을 중단하고 투자은행(IB)기능만 남겨둘 확률이 크다. 철수 대상 지역으로 한국이 거론된 것은 처음이다.


2015년과 2017년 이후 철수설이 재점화된 한국씨티은행의 철수가 이번에는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 씨티은행은 최근 저금리로 인한 마진폭 축소, 국내 시중은행과의 경쟁 등으로 2017년 점포 수 133개에서 44개로 대폭 구조조정했다. 마이데이터 등 신사업 진출에 소극적인 점도 철수설에 무게를 싣는 대목이다.


하지만 흥행 여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당장 가장 유력후보로 거론되는 빅테크들은 매력이 떨어진다며 인수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입장이다. 가장 큰 이유는 법적인 산을 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대주주가 비금융자본이기 때문에 은산분리 원칙에 따라 은행지분을 최대 10%(지방은행은 15%)까지만 소유할 수 있다. 이는 네이버 등 다른 핀테크 업체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대폭 축소 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이상 남아있는 점포도 문제다.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은 전자적 장치를 통해 금융상품을 제공하도록 규정돼 있으며 이용자가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의 종사자와 대면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한다고 하더라도 점포를 모두 철수하고 관련된 인원을 모두 정리해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떠안을 수 있는 것이다.


한국씨티은행을 인터넷은행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이것도 쉽지 않다.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전환하면 인수를 희망하는 기업은 지분을 최대 34%까지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공정거래법으로 벌금형 이상의 제재를 받지 않아야 하며, 한국씨티은행을 인터넷은행으로 전환하기 위한 당국의 허가도 필요하다. 만약 빅테크 업체에서 인수에 나선다고 하더라도 넘어야 할 산이 적이 않은 것이다.


한 빅테크업계 관계자는 "현행법 때문에 인수는 어렵고, 한국씨티은행을 인터넷은행으로 전환할 경우 인수 가능성이 조금 생긴다"며 "하지만 전자금융을 주력으로 하는 빅테크 기업에서 새로 인터넷은행을 인수할 이유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