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강원도 ‘삼세기’ 세계 최초 대량 인공부화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형준 기자(jhj2529@pressian.com)]
강원도수산자원연구원은 지난 2017년 ‘삼세기’ 인공부화 연구를 진행해 4년 만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대량 인공부화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작년 10월 말 고성군 대진 연안해역에서 교미를 마친 암컷을 확보해 산란유도 후 80일간의 대량인공부화시험을 통해 지난 1월 중순 대량인공부화(20만 마리)에 성공했다.

프레시안

현재 사육 중인 어린 ‘삼세기’. ⓒ강원도수산자원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전장 3cm 내외인 어린 삼세기(1만 마리)를 대상으로 초기 사육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삼세기는 쏨벵이목 삼세기과 어류로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중부 이북,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 북태평양에 많이 분포한다.

체내수정을 하는 종으로 부화기간이 길고, 부화 초기부터 다른 어류의 어린고기를 잡아먹을 정도로 탐식성이 강해 대량인공종자생산이 어려운 어종이다.

삼세기에 관한 연구는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와 산란습성 등 단편적으로 일본에서 이뤄졌다.

프레시안

대량 인공부화된 어린 ‘삼세기’. ⓒ강원도수산자원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생태, 산란생태, 난발생, 자치어의 형태발달 등 일부만이 구명돼 있는 실정으로 대량종자생산을 위해서는 체계연구가 더욱더 필요하다.

머리는 커다랗고 턱과 머리, 몸에 우툴두툴한 돌기가 나 있어 못생긴 어류로 손꼽히는 삼세기는 지역에 따라 삼숙이(강원), 삼식이(전라, 충청), 탱수(경남), 꺽지(강화) 등으로 불린다.

강릉을 중심으로 동해 북부지역에서는 삼숙이탕, 경남 마산에서는 향토음식으로 탱수국, 인천 및 강화에서는 삼세기 알젓, 회무침 등으로 맛집을 소개하는 TV프로그램에서 자주 소개되는 대표적인 서민생선이다.

프레시안

▲삼세기 생태. ⓒ강원도수산자원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삼세기의 국내 생산량은 작년 기준 약 370톤, 생산금액은 약 11억 원으로 10년 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현재 kg당 위판가격은 2~3만원, 시중에서는 4~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엄명삼 강원도환동해본부장은 “이번 삼세기 대량인공부화 성공을 시작으로 부화 초기 강한 탐식성으로 인한 공식을 방지할 수 있는 먹이 및 사육기술을 개발하여 삼세기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조성을 위해 삼세기 대량인공종자생산 원천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형준 기자(jhj2529@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