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국내 백신 접종

서울대병원 1호 접종 김연수 병원장, "백신 관련 근거없는 불안 줄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서울대병원이 상급종합병원으로는 처음으로 코로나 19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4일 오전 9시 김연수 병원장(왼쪽)을 시작으로 열흘간 약 8000여 명의 의료진 및 관계자에게 접종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이 시작된 주 1주일을 맞은 4일 상급종합병원 중 처음으로 서울대병원에서 백신 예방 접종이 시작됐다. 1차 접종 대상인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접종 시작이다.

이날 접종은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지하1층 임상강의실에서 진행됐다. 접종은 △진표 작성 △접수 △예진 △접종 △접종후 등록 △이상반응 대기 순으로 오전 9시부터 진행됐다. 이날 접종 인원은 50명이다.

이날 서울대병원 첫 접종자인 김연수 서울대병원장은 1호 접종 소감으로 "상급종합병원으로서 국민의 안전 지키기 위해 1호접종 대상자 된 것 같다"면서 "백신에 대해서는 근거없는 불안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의 백신 접종 동의률은 95%다. 김 원장은 "백신 접종 동의율 95%다. 임산부, 임신 예정자를 제외하면 대부분 동의했다. 이중엔 의료진만 있는게 아니라 조리사분 등을 포함한 모든 직원이다. 3월부터 근무하는 직원들에게도 사전에 의향서를 받았는데 대부분 동의했다"고 말했다.

어제 발생한 사망자 발생에 대해 김 원장은 "사망자 뉴스 안타깝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기저질환자 분이신데, 인과성은 아직 모르겠다. 백신 접종 장점이 크다. 국민 신뢰를 위한 그 첫 걸음을 서울대병원이 하기 위해 나섰다. 모든 직원이 다 접종한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에 대해서는 "불안감 있다. 하지만 AZ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로, 이미 인류와 오래 같이 있었던 바이러스를 활용한 것"이라면서 "백신 개발 과정에서 여러차례 검토했다. 특별히 불안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병원이 아랍에도 있는데 거긴 정책상 중국 시노팜 백신을 맞는다. 150명 정도인데 대부분 접종한 걸로 알고 잇다. 항체 검사 이뤄진걸로 보면 양성률도 높다. 백신마다 장단점이 있겠지만 국민들이 순서대로 접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서울대병원 두 번째 접종자로 나선 정승용 진료부원장은 "백신접종은 주말 포함해 10일간 진행되고. 내일부터는 1000명씩 접종해 총8900명 정도 접종할 것"이라면서 "서울대 병원 모든 구성원들이 (백신을) 맞는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 방문한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사망과 백신 연관 있어야만 우려할 부분이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많이 접종했고 사망 연관성 낮다. 사망 연관성이 있으려면 동일 제조번호 동일 시간대 특정 장소, 그리고 부검결과가 필요하다"고 백신 접종과 사망 인과성에 대해 소견을 말했다. 이어 "백신 사망으로 단정하기엔 섣부르다. 언론에서도 백신 접종 후 일부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아직 인과성은 모른다는 식으로 톤을 낮춰 보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