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포티투닷, 세종 스마트시티에 자율주행 솔루션 공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머니투데이

/사진=포티투닷(42do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이 세종 스마트시티의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포티투닷은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 사업자인 'O1 컨소시엄'에 참여해 자율주행 모빌리티 솔루션을 공급한다고 8일 밝혔다.

포티투닷은 자체 개발한 도심형 모빌리티 통합 플랫폼인 '유모스'(UMOS)를 세종 스마트시티에 적용한다. 수요응답형 셔틀 서비스까지 연계해 세종 스마트시티를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의 기준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세종 스마트시티는 세종시 5-1 생활권의 여의도 면적의 약 94%에 해당하는 용지에 첨단 IT(정보기술)를 적용해 미래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총 3조1000억원의 대규모 사업비가 투입되는 가운데 포티투닷은 핵심 분야인 모빌리티에서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 모빌리티 시스템 서비스 구축과 운영을 맡는다.

포티투닷이 개발한 유모스는 △예측 기반 실시간 모빌리티 노선 최적화 △이용자 맞춤형 대중교통 지원 △실시간 교통상황 및 연계 수단을 고려한 최적화된 분석·배치 기술 등을 제공한다. 이를 적용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운영하며 기존 대중교통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송창현 포티투닷 대표는 "스마트시티가 시민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 기술이 물과 전기와 같은 유틸리티로써 끊김 없이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며 "유모스를 활용해 도시에 필요한 이동 수단을 진단하고 사용자 니즈에 맞는 교통 인프라 구축부터 서비스 운영까지 통합해 스마트시티 실현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유인상 LG CNS 스마트SOC담당 상무는 "포티투닷은 자율주행 기술력과 서비스로 혁신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할 기업으로 컨소시엄에서의 기대가 크다"면서 "세종 스마트시티를 데이터와 시민 수요, 기술 변화에 따라 서비스 적용이 쉽고, 자유로운 실험이 가능한 IT 플랫폼 도시로 구현하는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은 리빙랩 설계와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약 2년의 테스트 기간을 거친다. 본 사업은 2023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이동우 기자 canel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