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커지는 인플레 우려…"갈수록 기준금리 상향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4분기 물가상승 압력 2분기보다 높아질 것"

연합뉴스

밥상 물가(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성서호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과 경기 회복 기대감 등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작년 2분기의 기저효과(비교 대상 수준이 낮아 상승·증가율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를 고려했을 때 당장 올해 2분기부터 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이 갈수록 한국은행 입장에서도 기준금리를 올릴 유인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 유가에 '밥상 물가'도 상승세…"급격하진 않을 것"

연합뉴스


최근 들어 이른바 '밥상 물가'를 중심으로 각종 물가 지수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14일 한은과 통계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럽연합(EU)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Eurostat) 등에 따르면 올해 1월 한국의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6.5%다.

OECD 전체 평균(3.1%)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자 37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18.1%), 칠레(7.8%), 아이슬란드(6.7%)에 이어 4번째로 높은 것이다.

같은 달을 기준으로 미국(3.7%), 유로지역(1.5%)보다 월등히 높았다. 영국(-0.7%)과 일본(-0.1%)은 마이너스였다.

특히 지난달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9.7%로, 2011년 8월(11.2%)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00(2015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 높아졌다. 지난해 2월(1.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국제 유가도 상승세가 가파르다. 이달 13일 4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65.81달러를 기록했다. 4일에는 전날 대비 4.2%(2.55달러) 치솟아 2년 내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이 때문에 정부와 한은은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2일 정책점검회의에서 "국제적인 수요 회복 기대와 세계 각지의 기상 이변으로 유가·원자재·곡물 등의 가격 상승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작년 2분기 물가가 유난히 낮았던 점도 (상승률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며 다가올 2분기 물가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우려했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백신 접종 등에 따른 빠른 경기회복과 경제활동 정상화로 억눌렸던 수요가 분출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한국과 주요국의) 급격한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인플레이션 위기 고조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 기준금리 당장 올리긴 어렵겠지만…"상향 유인 커진다"

시중에 공급된 커다란 유동성 때문에 물가 상승 압력은 예견된 일로 볼 수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아주 높은 수준의 상승 압력은 아니겠지만, 3, 4분기에 2분기보다 높으면 높았지, 낮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동성 흡수 차원에서 기준금리 상향 조정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경기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함부로 손대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김 교수는 "경기 회복은 느린데 물가 상승 속도만 커지면 미리 대응해야 할 한은이 통화 정책을 시행하기 매우 어려운 딜레마(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장 우려해야 하는 상황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적인 경기 회복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미국은 금리를 올리는데 우리는 회복이 늦어져 금리 인상은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물가가 이대로 오른다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유인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해 3월 16일 '빅컷'(1.25%→0.75%)에 이어 5월 28일에 추가 인하(0.75%→0.5%)한 뒤 지난달까지 6번 연달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높아지고, 물가가 1% 정도를 넘어가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유인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은은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겠다는 식으로 얘기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 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백신 접종 등으로 하반기에 인플레이션이 커지면 기준금리 인상 유인도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soh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