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보당국, 적성국 美대선 개입 보고서 공개
이란은 '트럼프 저지' 나서...中은 개입 안해
2019년 6월 28일(현지시간) 오사카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이미지출처=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성채윤 인턴기자] 러시아와 이란이 지난해 11·3 미국 대선에 개입을 시도하려 한 정황이 포착됐다.
16일(현지시간) 마켓워치·CNN방송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미 중앙정보국(CIA)을 비롯해 18개 정보당국을 총괄하는 국가정보국(DNI)은 이날 기밀 해제한 ‘2020 미국 연방 선거에 대한 외국의 위협’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DNI가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러시아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을 지원하기 위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가 개입된 이른바 ‘우크라이나 스캔들’에 대한 의혹을 증폭시키는 등의 공작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미 대선 결과에 대한 유권자들의 신뢰를 훼손하려는 시도도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 과정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 같은 작전을 직접 승인했다는 점을 보고서는 주목했다.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정치인 아드리 데카흐 의원이 푸틴 대통령의 대리인으로 나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비난 여론을 끌어올리기 위해 미 정계 인사들에 대한 영입을 시도했다고 썼다.
다만, 보고서는 러시아와 이란의 이번 공작은 선거 시스템 해킹이 이뤄졌던 2016년 미 대선 당시와 달리 ‘사이버 행동’을 포착하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유권자 등록, 개표나 득표수 집계 등에 직접 기술적으로 개입하기보다 주로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등 유권자들의 투표 의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작전을 벌여 은밀하게 개입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보고서는 “중국은 (미 대선에) 간섭하려는 노력을 실행하지 않았다”고 기술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대선 과정에서 미국과의 관계에 대한 안전성을 추구했다”며 “선거 개입 사실이 들통 날 경우 미국의 반격을 감수할만큼 작전이 유용하다고 판단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중국이 바이든 후보를 돕기 위해 선거에 개입했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장과 대비된다.
이 보고서는 앞서 지난 1월7일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면서 선거결과를 조작하려던 때 공개됐던 보고서로 당시에는 기밀로 분류돼 극히 일부만 공개됐다.
DNI는 지난해 8월에도 러시아, 이란, 중국이 대선 여론조사 조작을 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공개한 바 있다. 당시 보고서에는 러시아와 연계된 이들이 트럼프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공작을 벌이는 반면 이란과 중국은 그의 지지율을 떨어트리기 위해 공작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