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금리 오르는데 보험사 예정이율 인하.…“보험료 10% 오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교보생명 예정이율 0.25%p 인하...중소형사도 동참

최근 시중금리 올랐지만, 지난해 떨어진 폭이 더 커

보험사 "저금리 기조 지속할듯..보험료 인상 불가피"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실손보험료에 이어 이번엔 생명보험사 대표 상품인 보장성보험의 보험료가 인상될 전망이다. 보험사들이 보험료 책정의 근간이 되는 예정이율을 하향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보험료는 그만큼 인상된다. 특히 이번 예정이율 인하는 최근 시중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낮추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다만, 보험사들은 장기간 누적된 저금리 영향으로 예정이율 인하와 그에 따른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삼성·교보생명 등 2%대 수준으로 조정
이데일리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정이율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를 운용해 보험금을 지급할 때까지 얻을 수 있는 보험사의 예상수익률을 말한다. 예정이율이 올라가면 보험사는 그만큼 운영수익을 더 얻을 것으로 예상하고, 더 적은 보험료만 받는다. 운영수익이 많아지는 만큼 같은 수준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그만큼 운영수익이 낮아진다는 뜻이기 때문에 보험사는 보험료를 올린다.

예정이율은 인상ㆍ인하는 보통 4월에 정해지고 있으며, 한 번에 0.25%포인트 정도씩 조정한다. 통상적으로 예정이율이 0.25%포인트 떨어지면 신규 또는 갱신 보험계약의 보험료는 10% 수준이 오른다. 비갱신으로 가입한 기존 가입자는 당연히 영향이 없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생보사들은 오는 4월을 기점으로 주요 종신 등 보장성 상품의 예정이율 인하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생명은 다음달부터 금리확정형 종신보험과 종합건강보험 등 일부 상품의 예정이율을 2.25%에서 2.0%로 인하할 계획이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4월 2.5%였던 예정이율을 2.25%로 내린 뒤, 지난해 말부터는 2.0% 수준으로 조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교보생명도 지난해 말 2.25%였던 보장성보험 예정이율을 2.0%로 조정했으며, 당시 조정되지 않았던 나머지 상품의 예정이율을 이번달 2.0%로 낮춘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4월과 7월 연이은 조정을 통해 예정이율을 2.0% 수준으로 이미 낮췄다.

중소 생보사도 예정이율을 줄줄이 인하한다. NH농협생명은 다음달 보장성보험의 예정이율을 2.25%에서 2.0%로 조정한다. 동양생명도 1월에 비갱신형 보장성 상품에 대해 2.25%로 내렸고, 다음달 갱신형 보장성 상품과 종신보험도 똑같이 내린다.

상품기간 길어 보수적으로 책정...저금리 기조 지속 예상

생보사들이 예정이율을 줄줄이 낮추고 있는 것은 장기화하고 있는 저금리 기조 때문이다. 예정이율은 국고채ㆍ시중금리ㆍ자산운용수익률ㆍ금리 및 산업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험사가 정한다. 보험상품 가입기간이 길다 보니 최대한 보수적으로 책정되며, 시장금리가 움직인 이후 6개월이나 1년 이후에 예정이율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는 코로나19로 상황이 조금 특별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까지 내렸고, 이에 따라 시중 및 채권금리도 하락했다. 특히 보험사가 가장 민감하게 보는 국고채 금리가 지난해 크게 떨어졌다. 물론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회복 초입 단계이고 하락폭에 비해 상승폭은 더디다는 게 보험업계 관점이다.

실제 지난해 1월 국고채 5년물 금리는 1.48%에서 7월 1.09%까지 0.39%포인트 떨어졌다. 물론 지난달 1.35%대로 올랐으나, 전년 1월 수준으로는 회복하지 못했다. 3년물 또한 지난해 1월 1.38%에서 7월 0.83%로 하락했다가 지난달 1.00%로 올랐다. 다만,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해 1월 1.66%에서 7월 1.36%로 내려갔다. 지난해 1.85%로 상승했다.

한 보험전문가는 “보험사 예정이율이나 공시이율은 시장금리가 바뀐다고 해서 바로바로 연동 되는 건 아니다”라며 “예정이율은 한번 정해지게 되면 갱신형을 제외하고는 계속 같은 보험료가 책정되기 때문에 모든 악재를 고려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책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국고채 금리와 시중금리가 오르고 있지만 이 추세가 내년까지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다”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당장 올리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보험사가 예정이율을 급하게 올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