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中, 美에 대중제재 철회 요구할 듯…"안보·발전 문제 양보할 여지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양국 고위급 회담을 앞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양국이 핵심 이익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보이지만, 합의에 이를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일회성 만남'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측은 18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미·중 고위급 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 내려진 전방위적인 대중 제재를 철회하도록 미국을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측이 철회를 원하는 조치는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반도체업체의 수출 제한, 중국 공산당원·유학생·관영매체 기자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 등"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이 제재를 거둬들이거나 완화할 경우 그에 맞서 내놨던 '맞불 조치' 철폐를 고려하겠다는 구상을 전달할 방침이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브리핑에서 "양측은 고위급 교류를 포함해 어떤 공동 관심사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면서도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 문제에서는 협상하거나 양보할 여지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측은 공동성명을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할 정도로 무역, 기술, 인권, 역내 안보문제 등을 놓고 대중 압박에 나설 것임을 공언한 상태다. 북핵 문제도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을 압박하려는 한·미·일 3각 공조에서 한국이 '약한 고리(weak link)'라고 평가했다. 신문은 "한국은 공개적으로 중국에 맞서길 꺼리는데, 이는 중국을 억누르기 위한 미국 주도의 아시아 동맹에서 한국이 거리를 둘 것이라는 중국 관측통 견해와 일치한다"며 "한국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진영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