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화웨이, 美제재·코로나 여파에도 작년 순이익 3.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화웨이 로고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미국의 집중적인 견제 대상에 오른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지난해 매출과 순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3.8%,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웨이는 31일 발표한 2020년 연간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전세계 매출이 8천914억 위안(약 153조4천억원), 순이익은 646억 위안(약 11조1천억원)이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과 AP 통신 등에 따르면 화웨이의 연간 매출과 순이익 증가율은 각각 2019년의 19.1%, 5.6%보다 감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임 행정부는 2019년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미국 기술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등 제재를 가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위기에 몰린 화웨이는 지난해 11월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인 아너(룽야오·榮耀)를 매각하기도 했다.

화웨이는 이번 연간 보고서에서 스마트폰·스마트워치·노트북을 포함한 소비재 사업 부문의 매출이 전년 대비 3.3% 늘어난 4천829억 위안(약 83조1천억원)을 기록, 전체 매출의 절반을 넘겼다고 밝혔다.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 장비 사업 등의 매출은 전년 대비 0.2% 증가한 3천26억 위안(약 52조원)이었다.

화웨이의 지난해 성장은 중국 국내 시장 실적에 힘입은 것으로, 중국 내 매출이 전년 대비 15.4% 늘어난 5천849억 위안(약 100조6천억원)이었다.

반면 미국의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속에 지난해 중국 이외 지역에서의 매출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는 12.2% 줄어든 1천808억 위안(약 31조1천억원), 중국 이외 아시아 지역에서는 8.7% 줄어든 644억 위안(약 11조원), 미주에서는 24.5% 줄어든 396억 위안(약 6조8천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화웨이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1% 감소한 2천201억 위안(약 37조8천억원)으로, 미국의 제재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후허우쿤(胡厚崑·켄 후) 화웨이 순환회장은 "경영환경이 어떠하든 우리는 실제 데이터로 모두에게 보여줄 수 있다"면서 "지난해 재무 결과는 예상치에 부합하며 경영은 온건하고 현금흐름도 건강하다"고 밝혔다.

이어서 "화웨이 업무전략의 큰 방향은 변하지 않았다"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시설 및 소비자 체험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sch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