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금리 인상에도…주담대 두달연속 3조대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대출이자 부담 커질 우려

헤럴드경제

서울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두 달 연속 3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연말 연초 급증세를 보이던 신용대출은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2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전세자금 대출 포함)은 3월 말 기준 483조1682억원으로 2월말(480조1258억원)보다 3조424억원 늘었다. 2월(3조7579억원)에 이어 두달 연속 3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주담보대출은 지난해 8~11월 매달 4조원대에 달했던 증가폭이 12월 3조원대, 올해 1월 2조원대로 줄어드는 듯했으나 2월과 3월에 다시 3조원대로 커진 모습이다.

특히 최근 전셋값 상승의 영향으로 전세자금대출 수요가 급증했다. 3월 말 잔액(110조8381억원)이 2월말(108조7667억원)보다 2조714억원 늘어나 두달 연속 증가폭이 2조원대를 나타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셋값 상승과 이사 시즌이 맞물려 전세자금대출 수요가 증가하면서 2월에 이어 3월에도 전세자금대출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최근 금리가 상승 흐름을 보이는 데 있다. 대출 증가가 이자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시장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랐다.

2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2.63%에서 연 2.66%로 0.03%포인트 상승해 작년 8월 이후 6개월 연속 오름세를 지속했다.

가장 먼저 신한은행이 지난달 5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0.2%포인트씩 인상했다. 이어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도 우대금리폭을 낮추며 사실상 금리인상에 나섰다.

은행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 계획에 맞춰 대출 증가 속도를 관리하기 위해 우대금리 축소 등으로 사실상 금리 인상 효과를 주면서 주택담보대출 상승폭이 전월보다 7000억 원가량 줄었다”며 “전세수요 증가로 전세자금대출이 많이 늘면서 전체 주담대 증가액에 영향을 미친 만큼 이 부분을 유의해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각종 규제로 신용대출 증가폭이 눈에 띄게 줄었다. 5대 시중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135조3877억원으로 전월 대비 2033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작년 11월 신용대출 잔액이 전월보다 4조8495억원 늘어난 이후 12월(-433억원), 1월(+1조5918억원), 2월(-556억원)에 이어 3월 2000억원 증가에 그치며 뚜렷한 진정세를 보였다.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발맞춰 대출 조이기에 나선 데다 최근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증가세가 주춤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6357억원으로 2월 말(678조1705억원)보다 3조4652억원 늘었다. yjsung@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