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9 (수)

이통3사, 농어촌 5G망 공동이용으로 3년 내 상용화 마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 발표

통신사 간 망 공동이용으로 2024년 상반기까지 농어촌 5G 완성 목표

[아시아경제 구은모 기자] 이동통신 3사가 농어촌 지역의 5G 무선통신시설을 공동 구축해 3년 내 상용화를 마치기로 합의했다. 무선통신시설의 공동이용이 이뤄지면 각 통신사가 자체적으로 망을 구축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국내 5G 서비스의 커버리지 확대 속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통3사는 15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회의를 열고, 읍·면 등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마련해 발표했다. 이통3사는 전 국민의 5G 서비스 접근성 제고와 도·농간 5G 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해 농어촌 지역 망 공동이용에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통3사는 당장 상반기부터 공동망 관리시스템 등 필요한 기술 개발에 나서, 하반기 중반에는 망 구축을 시작하고 연내 시범 상용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후 시범결과를 분석·평가해 망 안정화 등 필요한 조치를 통해 2024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상용화를 완료하기로 했다. 여기에 이통3사의 85개시 행정동 지역 기지국 구축이 예정대로 병행된다면 국내 5G 커버리지 확대에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G 공동이용 서비스는 인구밀도와 데이터 트래픽 등을 고려해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해당 지역들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5%가 거주하고, 1㎢당 인구수가 약 92명으로 이통사들이 개별적으로 기지국을 구축하는 지역(전체 인구의 약 85%, 1㎢당 인구 약 3490명)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다. 5G 공동이용망 지역에선 이통3사 5G 이용자 뿐 아니라 해외 입국자나 알뜰폰 가입자에게도 차별 없이 공동이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역별 망 구축 분배는 지역별 설비 구축 수량, 트래픽 등을 고려해 이뤄졌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술 방식은 통신사 간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선 각사의 코어망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빠른 5G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기지국을 공동이용하는 MOCN(Multi Operator Core Network) 방식으로 결정됐다. 아울러 망 설계 과정에서는 공동이용 지역 내에서는 공통 품질 기준을 적용하고, 터널과 도로 등 지형 특성에 따라 5G 장비를 맞춤형으로 설계한다. 고장·장애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는 통신3사가 운영하는 핫라인 및 공동망 관리시스템을 통해 대응하기로 했다. 이밖에 데이터 사용량, 각 사 구축 지역과 공동이용 지역 경계 지역에서 통신망 전환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신사 간 핫라인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면서 품질 관리에 노력할 계획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농어촌 5G 공동이용이 안착할 때까지 공동이용 사전 준비부터 망 안정화, 상용화 단계까지 적극행정 중점과제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농어촌 5G 공동이용은 국내 통신3사간 바람직한 협력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번 공동이용 계획을 통해 도-농 간 5G 격차를 조기에 해소하고 디지털 포용 사회의 초석을 놓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