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8 (화)

日국민들도 신뢰 안 해…절반 이상 오염수 방출 '반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한고은 기자]
머니투데이

[도쿄=AP/뉴시스]13일 일본 도쿄의 총리관저 밖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에 대한 주변국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 국민 상당수도 오염수 해양방출에 반발하고 있다. 이는 과거부터 반복돼온 원전 관련 사고와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에 원인이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 아사이신문이 지난해 11~12월 전국 유권자 21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 '반대'한다고 답했다. '찬성' 응답률은 32%였다.

또 오염수의 해양방출에 따른 수산물 풍문(소문) 피해 가능성에 대해 응답자의 42%는 '매우 불안하다', 44%는 '어느 정도 불안하다'고 답했다.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인식이 나빠질 것으로 우려한 것이다.


반복된 원전사고와 은폐의혹…日 국민 도쿄전력 불신 커

머니투데이

[도쿄=AP/뉴시스]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13일 도쿄에서 열린 각료회의 후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물질 오염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아오야기 미도리 연구원은 14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후쿠시마 사고가 일본 원전정책에 미친 영향'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싣고 일본 국민들이 원자력 발전에 부정적인 이유를 짚었다.

아오야기 연구원은 "후쿠시마 사고 이전에도 원전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태도는 부정적이었다"며 "이는 1999년 JCO 사고, 2007년 가시와자키가리와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 유출 피해를 경험한 바 있고, 2002년에는 도쿄전력이 방사성 물질 유출 사실을 축소하기 위해 안전점검 기록을 조작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1999년 이바라키현 도카이무라의 핵연료가공공장(JCO)에서 발생한 임계사고(핵연료에서 일어나는 핵분열 반응)로 작업자 2명이 사망하고, 인근 주민 600여명이 피폭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회사 측의 늑장보고로 피해가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에는 니가타현에서 발생한 6.8 규모의 지진으로 가시와자키가리와 원전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당시에도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2002년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원자력안전원은 도쿄전력이 방사능 누설률 수치를 낮추기 위해 안전성 검사보고서를 조작해 보고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확인된 기록 조작 건수만 29건이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로, 현재 사고 현장 복구를 책임지고 있다.

원전 사고로 인한 피폭 피해와 불투명한 사고 처리가 반복되면서, 일본 국민들 사이에서는 원전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은 상황이다. 일본 국립환경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 규제수준은 원자력을 안전하게 통제하는데 충분하다'는데 동의하는 비율은 2007년 19.3%에서 2011년 8.9%로 감소했고, 2015년에도 11.4%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아오야기 연구원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 국민들은 원자력 발전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로 바뀌었고, 이 같은 경향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오염수 방출 정보 부족에 피해 추정도 제각각…"주변국 참여하는 검증 체계 만들어야"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민중공동행동 관계자들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13일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하기로 정식 결정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해양 방류에 필요한 설비 심사와 공사에 2년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방류는 2023년 초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2021.4.15/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 이후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은 일본에 보다 투명한 정보공개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 정보나 구체적인 방출계획이 정확히 공개되지 않으면서, 학자마다 오염수 방출에 따른 피해 추정이 제각각인 상황이다.

켄 부셀러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WHOI) 연구원은 지난 13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인터뷰에서 "오염수의 방류 허용 기준치는 원전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 적용하는 것으로, 사고로 인해 발생한 오염수에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나이젤 마크 호주 커틴대 교수는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은 태평양 해수에 희석되면서 의료 영상이나 비행기 탑승을 할 때 나타나는 안전한 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임만성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중요한 것은 앞으로 일본이 오염수에 대한 정보와 방출 과정을 얼마나 투명하게 공개하고 관리하느냐"라며 "비행기가 위험하니 무조건 타지 말라는 식의 이야기보다는 주변국이 참여하는 검증 체계를 만들어 일본이 오염수 방출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한고은 기자 doremi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