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2번째 기재부 출신 노형욱 장관…국토부 전문성·정책추진 평가 '희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4대책 등 정책과제 산적한데 전문성 있는 수장 아쉬워"

"서울시 협의·조율 필요할 때, 관리·중재형 수장 바람직"

뉴스1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희준 기자 =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지명에 부처 안팎에선 희비가 엇갈린다. 2·4 공급대책과 공시가격 등 다양한 부동산 이슈가 산적한 가운데 전문성이 아쉽다는 지적과 정책추진에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주를 이룬다.

16일 오후 노형욱 전 국무조정실장이 국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고 알려지자 전날부터 후속인사에 촉각을 곤두세웠던 국토부에선 일순 놀란 기색이 역력했다. 애초 하마평에 오르거나 예상된 후보군이 아니라는 얘기다.

내부의 한 직원은 "지난달 변창흠 장관의 사의 표명 이후 여러 인사가 나왔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2·4 대책의 차질없는 추진을 강조해, 주택정책의 전문성이 있는 내부인사나 외부 전문가 등이 거론됐는데, 솔직히 노형욱 후보자는 의외"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직원은 "공시가격 등 여러 전문적인 과제가 산적한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가 아닌 타부처 출신 장관이 지명된 것이 정책추진에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다만 노 후보자가 지명 이후 국민의 주거안정, 부동산투기 근절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최선의 노력을 다해 세심히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이런 분위기는 다소 가라앉고 있다.

노 후보자의 지명에 긍정적인 입장도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땅투기 사태 등 여러 이슈가 겹쳐진 국토부 장관 자리가 힘든 자리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며 "정치인은 고사했을 가능성이 높고, 기획재정부와 국무조정실이 전체 부처를 총괄하는 역할인 만큼, 해당부서 출신의 수장이 오는 것이 현재로선 정책추진을 위한 최선책"이라고 했다.

노 후보자는 행정고시 30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에서 재정관리관을 지내다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과 직전 국무조정실장 등을 맡았다. 기재부 출신으론 강호인 전 장관에 이어 두번째 국토부 장관 후보자다.

또 다른 관계자는 "2·4 대책 등 부동산정책은 기재부, 서울시 등 부처·지자체와의 조율이 필수적"이라며 "중앙부처 중에서도 조율과 중재를 맡은 위치에 오래 있었기 때문에 서울시와의 정책조율이 필수적인 현 상황에선 최적임자일 수 있다"고 했다.

이런 우려와 기대에 노 후보자도 충분히 이해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뉴스1>과의 전화에서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국무조정실장을 하면서 (부동산정책의) 정책방향과 목표에 대해 큰 틀에서 이해하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더 깊이 있게 들여다봐야 할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노 후보자는 광주제일고,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프랑스 파리정치대학 국제경제학 석사를 졸업했으며, 행정고시 30회로 기획재정부 공공혁신기획관, 사회예산심의관, 행정예산심의관,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등을 지냈다.

정부 안팎에선 조직장악 능력과 리더쉽을 고루 갖춘 정통관료로, 합리적인 업무스타일로 상하 신망이 두터운 것으로 전해진다.
h9913@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