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대구경북 행정통합 ‘찬성’이 ‘반대’ 앞서...1차 조사 때 ‘팽팽’과 달라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두고 열린 온라인 토론회 모습.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시도하고 있는 행정통합에 대해 절반이 넘는 주민이 찬성했다. 반대 의견은 31.1%로 나타났다.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공동위원장 김태일·하혜수, 이하 통합공론위)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일까지 대구·경북 지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대구 500명, 경북 500명)을 대상으로 2차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행정통합에 찬성하는 의견이 45.9%, 반대 의견이 37.7%로 나타났다. 모른다거나 무응답은 16.4%였다.

이는 지난 2월에 실시했던 1차 여론조사에서 찬성 40.2%, 반대 38.8%로 찬반 의견이 팽팽했던 것에 비해 찬성의견이 더 높아진 것이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3.14P이다.

지역별로는 대구시민은 오차범위 내에서 찬성이 반대보다 1.8% 높았다. 경북도민은 찬성이 반대보다 14.6%가 높아 경북도민이 대구시민보다 행정통합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 찬성이 38.5%로 찬성의견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20대(찬성 43.6%), 40대(찬성 47.8%), 50대(찬성 44.8%), 60대(찬성 48.2%), 70대 이상(찬성 51.8%)로 나머지 전 연령층에서는 찬성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행정통합에 찬성하는 이유(2개 선택)로는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로 경쟁력 확보’가 53.8%,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지방정부 구성으로 국가균형발전도모’가 53.2%, ‘시도의 통합을 통한 도시와 농촌의 상생발전 도모’가 45.8%의 순이었다.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것 같아서’가 62.1%로 시도 간 행정통합이 지역 균형발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것으로 추정됐다. 이어 ‘통합에 따른 경제발전 성과가 크지 않을 것 같아서’가 60.8%, ‘대구경북의 권한이 더 늘어날 것 같지 않아서’가 30.1%의 순으로 조사됐다.

대구경북행정통합 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는 ‘경제산업’이 5점 만점에 4.5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과학기술(4.3점)’, 교육', ‘사회복지’, ‘환경’이 각각 4.2점으로 나타났다.

통합자치단체의 명칭 및 행정체계에 대해서는 ‘대구경북특별광역시(안)’에 56.1%, ‘대구경북특별자치도(안)’에 31.3%의 찬성율을 각각 보여 ‘대구경북특별광역시’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대구경북특별시(안)’에 대구시민은 65.2%, 경북도민은 47.0%가 찬성했으며, ‘대구경북특별자치도(안)’에 대해 대구시민은 25.8%, 경북도민은 36.5%가 찬성했다.

대구경북행정통합 시 청사 운영에 대한 질문에서는 ‘2개 청사(대구시 달서구 신청사와 경북도청사)’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46.4%였다. ‘1개 청사’를 사용할 경우 ‘대구시 달서구 신청사’는 24.5%, ‘경북도청사’는 18.5%로 각각 응답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시점과 관련해서는 63.7%가 ’2022년 지방선거 이후 중장기 과제로 진행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2022년 7월에 행정통합(통합자치단체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응답은 18.3%로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장기적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통합공론위는 오는 23일 전체위원 워크숍을 열어 대구경북 행정통합 기본계획, 특별법, 종합검토 의견을 논의·의결할 계획이다.

종합검토 의견에는 이 여론조사 결과를 포함해 ‘3회에 걸친 열린 토론회’, ‘4차례 개최된 권역별 대토론회’, ‘제1차 여론조사’, ‘빅데이터 분석’ 등의 결과들이 담긴다. 이후 4월29일 시·도지사 보고회를 통해 최종 의견을 제출할 계획이다.

[박원수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