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3 (목)

이슈 미술의 세계

"진달래 고봉밥…어머니께 바치는 헌화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서울 선화랑 개인전 `진달래-축복` 연작 앞에 서 있는 김정수 작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월이 되자 진달래 작가 김정수(66)가 돌아왔다. 지금까지 그는 진달래가 필 무렵에 신작을 펼쳐왔다.

2년 만에 열린 서울 선화랑 개인전 '진달래-축복' 작품들 속에서 연분홍 꽃비가 내리고 있었다. 바구니에 고봉밥처럼 수북이 담긴 진달래꽃은 도톰하고 먹음직스럽다. 숱한 작가들이 흉내 내려고 애썼던 아스라한 연분홍 꽃잎 색깔은 더 투명해진 것 같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화방에서 진달래 작가가 쓰는 물감을 달라는 화가가 많다"며 "여러 색깔 물감을 섞어 쓰기에 쉽게 모방할 수 없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매일경제

진달래 -축복 (AZALEA-BLESSING), 72.7x100cm, 캔버스 위에 유화, 200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10년 준비해서 20년간 진달래를 그려왔지만, 여전히 어렵다고 토로했다. 진달래가 가장 예쁠 때 전국 산천을 헤맨 끝에 그만의 진달래를 만들었다. 꽃잎이 오동통하고 동그란 열매처럼 복스럽다. 실제 진달래와 조금 다르지만 진짜 진달래처럼 느껴진다.

"1990년대 참고할 진달래 그림을 찾았는데 한 점도 없어 충격을 받았어요. 문인들 작품에서는 수없이 언급되는데 말이죠. 봄이 되면 오대산과 설악산 등에 가서 스케치하고 전 세계 거의 모든 물감을 뒤져 진달래색을 찾았어요. 아스라하면서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색깔이죠. 러시아와 중국에도 진달래가 있지만 먹을 수 있는 진달래는 우리나라밖에 없어요."

그의 진달래는 한국 어머니에게 바치는 헌화다. 자식들을 배불리 먹이고 공부시키기 위해 희생한 모성에 대한 찬사다. "어머니의 헌신으로 일제 식민지와 6·25전쟁의 상흔을 치유할 수 있었다고 봐요. 넘치는 사랑과 교육열 때문에 빗나가지 않았던 거죠.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된 비결도 어머니의 사랑입니다. 가난과 가부장제로 힘들었던 어머니들이 봄에 핀 진달래꽃에 희망을 키우면서 화전을 부치고 술을 담갔을 것 같아요."

매일경제

진달래-축복, AZALEA-BLESSING, 130x162.cm, 201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3학년 때 방황하던 그를 잡아준 어머니에 대한 추억도 떠올렸다. 가출했던 그가 집에 돌아오자 어머니는 산으로 데려가 진달래를 보여줬다.

"어머니가 손으로 진달래를 가리키면서 '시간이 되면 너도 저렇게 예쁘게 필 거야'라고 하셨어요. 그때 어머니는 어떤 배우나 선생님보다 더 멋지고 위대한 사람으로 보였어요. 그 후로 열심히 공부해서 고등학교에 진학했고, 미술부에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진달래는 그가 찾아 헤매던 정체성이기도 하다. 홍익대 미대를 졸업한 그는 1983년 파리로 가서 정착했지만 1990년대 초 전시를 위해 방문한 서울의 한 레코드 가게에서 들려오는 김수희 노래 '애모' 가사 '그대 가슴에 얼굴을 묻고 오늘은 울고 싶어라'를 듣고 혼란에 빠졌다.

"1987년 프랑스 영주권을 받아 '파리지앵'처럼 살고 있었는데 그 노래를 듣는 순간 갑자기 힘이 빠졌어요. 우리나라에 안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 정체성에 혼란이 오더라고요. 한국적인 것을 찾기 위해 도서관과 책방 문학 작품을 뒤져서 진달래를 발견했어요. 파리로 돌아가서도 엄청 방황했는데 어머니 사랑이 떠올라서 진달래 고봉밥을 그리기 시작했죠."

매일경제

이땅의 어머니들을 위하여, For the mothers of this land, 150x100cm, 아마포 위에 유화, 2005


2004년 귀국 전시부터 진달래를 소재로 '이 땅의 어머님들을 위하여' '기억의 저편' '축복' 연작을 발표해왔다. 이번 개인전에는 6~30호 소품(작은 그림)과 100호 대작 등 총 35점을 펼친다. 코로나19 시대 꽃 구경을 자유롭게 못하고 그림을 사랑하지만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소품전을 처음 연다. 진달래 꽃잎이 서서히 내려앉는 미디어아트 작품들도 전시돼 있다.

진달래 외에 다른 소재를 그리고 싶지는 않을까. 작가는 "한민족 정서와 유대감을 보여주는 소재로 진달래를 넘어서는 것을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고 했다. 전시는 5월 11일까지.

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깊이 있는 미술·문화재 기사를 신속하게 받아보려면 #네이버 기자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