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野소속 5개 광역단체장 "공시가 동결하고 조사권한 이양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를 비롯한 국민의힘 소속 5개 광역지방단체장들이 올해 공시가격을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하고, 추후 공시가격 결정 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하라고 촉구했다.

18일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박형준 부산시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등 국민의힘 소속 5개 광역지방단체장은 서울시청에서 '공시가격 현실화 공동 논의' 회의를 열고 대정부 건의문을 발표했다. 건의문에는 △올해 공시가격 동결 △공시가격 결정 권한의 지방자치단체 이양 △감사원 조사 등이 포함됐다.

총대는 오 시장이 멨다. 정부가 올해 공시가격을 인상하며 국민 92.1%는 세금 인상과 상관없다고 한 데 대해 "서울은 그렇지 않다"며 정면 반박했다. 그는 "정부가 말하는 특례세율이 적용되는 6억원 이하 공동주택이 서울에는 약 30%정도 된다"며 "서울시민 셋 중 하나는 재산세 부담이 전년대비 30% 오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시가격을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빠르게' 인상하는 것이 문제"라며 "세 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 노력을 촉구한다. 지자체가 권한을 가질 수 있게끔 법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도 "정부가 말하는 재산세에 대한 잠정 인하 조치는 올해부터 3년 간 적용되기 때문에 잠정 조치가 끝나게 되는 3년 뒤부터는 뚜렷하게 세 부담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정부의 입장과 정면 배치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공시가격은 부동산가격공시법에 따라 한국부동산원이 1421만가구를 전수조사해 산정한 가격"이라면서 "정부가 임의로 조성할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날 건의문에서 야권 5개 광역지방단체장은 "정부는 부동산가격공시법 시행령 46조에 근거, '공동주택 가격조사·산정보고서'를 신속하게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제공해 구체적인 산정근거를 알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원칙과 기준이 불명확해 신뢰도가 떨어지는 다수의 공시가격이 확인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감사원의 즉각적인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시해 달라"고 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