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시진핑, 기후정상회의 참석 가닥…미·중 공통분모 찾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케리 방중 뒤 중국 "긍정적 검토 중"

"판 깰 필요 없다" 조만간 발표할 듯

경쟁하되 협력모색, 새 틀로 굳어져

2060 탄소중립外 추가 카드 나올까

아주경제

지난 2012년 2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한 시진핑 당시 중국 국가부주석이 조 바이든 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 주도의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하기로 가닥을 잡은 모양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첫 대면이라 향후 미·중 관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다만 2060년 탄소 중립 달성이라는 기존 공약 외에 추가로 내놓을 카드가 마땅치 않아 고심 중이다.

19일 중국신문망 등에 따르면 미·중 양국은 전날 '기후 위기 대응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의 존 케리 기후변화 대통령 특사가 지난 15~16일 상하이에서 셰전화(解振華) 기후변화 사무 특사와 회담한 뒤 나온 결과물이다.

중국 생태환경부가 공개한 성명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양국 모두 22~23일 미국이 주최하는 기후정상회의를 기대한다'는 문구다.

케리 특사의 이번 방중은 시 주석의 회의 참석을 확정 짓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많았다.

중국에 이어 서울을 방문한 그는 "매우 희망한다"고 말했고,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이 일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러 부부장은 "중국은 회의에서 적극적·협력적 신호를 발신할 것"이라며 "기후변화 대응은 남이 우리에게 시키는 게 아니라 우리 스스로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아주경제

지난 16일 상하이에서 열린 미·중 간 기후변화 대응 회담이 끝난 뒤 존 케리 미국 기후변화 대통령 특사(왼쪽 여섯째)와 셰전화 중국 기후변화 사무 특사(열째) 등 양국 대표단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 주석의 회의 참석이 유력해진 건 양측의 이해가 맞아떨어져서다.

미국은 이번 회의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의 회복을 원한다. 세계 최대의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불참한다면 김이 샐 수밖에 없다.

탄슈제(譚秀杰) 우한대 국제문제연구원 부교수는 "기후 대응 문제는 중국을 떼놓고 생각할 수 없다"며 "미·중 양국이 실질적으로 협력해야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중국도 미국이 깔아 놓은 판을 굳이 걷어찰 이유가 없다. 미국이 다양한 영역에서 대중 견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어떤 식으로든 대화의 창은 열어둘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대응은 미국이 중국과의 협력을 모색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분야다.

경쟁할 땐 경쟁하고, 협력할 땐 협력하며, 맞서 싸워야 할 땐 싸운다는 게 바이든 행정부가 설정한 대중 전략의 큰 줄기다.

중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정책은 '쌍수(兩手) 전략'"이라며 "이데올로기·첨단기술·군사 분야에서 중국의 발전과 국제적 영향력을 억누르겠다는 '거친 손'과 범지구적 문제에서는 중국과 협력해야 한다는 '부드러운 손'이 공존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책을 '투쟁으로 연대를 도모한다(以鬪爭求團結)'로 표현했다. 둬웨이는 "연대는 목적이며 투쟁은 수단"이라며 "최종적으로 미·중 간에 신형 대국 관계를 형성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이 회의에 참석한다면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뒤 처음 얼굴을 보며 대화를 나누게 된다.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다. 양자 대화의 기회가 마련될 지는 아직 미지수다.

시 주석은 지난해 9월 열린 유엔 총회 화상 연설에서 2030년에 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한 베이징 소식통은 "기후 문제와 탄소 중립은 시 주석이 주도해 온 어젠다라 다른 지도자가 시 주석 대신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은 낮다"며 "추가로 내놓을 공약이나 계획이 마땅치 않은 게 고민스러울 것"이라고 전했다.
베이징=이재호 특파원 qingq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