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미국·중국만 독보적 경제회복…국가별 양극화 심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2 주도 ‘낙수효과’ 기대감보다

신흥국 자본 유출 가능성 더 높아

고른 회복 위한 국제공조 목소리

IMF 저소득 국가 지원 등 거론

[경향신문]

세계경제의 양강구도를 이루는 미국과 중국이 최근 독보적인 경제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경제회복에 긍정적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심화되는 국가 간 양극화를 극복하려면 고른 경제회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19일 국제금융센터의 보고서를 보면 국제통화기금(IMF),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상향하고 있다. 이는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이 상향조정된 데 따른 것이다.

미국은 지난 3월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지수가 64.7을 기록해 37년여 만에 가장 높았고, 소매판매도 한 달 동안 9.8%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 조 바이든 행정부의 재정부양책과 백신 보급 속도 등을 감안하면 미국 경제는 지난 수십년간 전례 없던 고성장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하며 1992년 분기별 성장률 발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한 기저효과에다 강한 경기회복세가 맞물린 결과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6% 이상’으로 제시했지만 전문가들과 주요 기관은 중국이 올해 8%대 경제성장률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각각 24.8%, 17.4%이다. 이들의 빠른 경제회복은 다른 나라들의 경제성장률도 끌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더 심해진 국가별 양극화를 감안하면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경기가 살아나는 미국과 중국에 투자자금이 쏠리면서 금융과 실물 사이 간극이 더 커지고, 상대적으로 신흥국에서는 자본 유출 우려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손영환 국제금융센터 경제리스크부장은 “달러화 강세로 신흥국들의 달러표시 자금 조달 및 상환 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며 “주요 기관들이 올해 세계경제의 빠른 회복세를 전망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일부 국가의 고성장에 의해 주도되는 만큼 부작용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 국가들이 동시에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하려면 국가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 IMF가 대기성차관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부과하는 긴축재정 요건을 완화해주거나, 고·중소득 국가들의 IMF 특별인출권 여유분을 저소득 국가에 낮은 금리로 빌려주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나의 탄소발자국은 얼마?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