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릭 쇼빈에 대한 평결이 전해진 20일 백인 여성과 흑인 남성이 미국 워싱턴 DC BLM 광장에서 손가락을 마주 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배심원단 12명은 이날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헤너핀카운티 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쇼빈에 대해 2급 살인과 3급 살인, 2급 과실치사 등 3개 혐의에 대해 모두 유죄 평결을 내렸다. 배심원단은 백인 6명, 흑인 4명, 다인종이 2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성 5명, 여성 7명이다. 쇼빈은 유죄 평결 뒤 법정구속 됐다. 선고는 8주 후 이뤄질 예정이다.
![]() |
데릭 쇼빈이 20일 미니애폴리스 헤너핀카운티 법원에서 자신에 대한 유죄 평결을 듣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쇼빈은 지난해 5월 비무장이던 조지 플로이드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수갑을 뒤로 채운 채 길바닥에 엎드리게 한 뒤 9분 동안 무릎으로 목을 눌러 숨지게 했다. 플로이드의 죽음은 미국에서 대규모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촉발했다.
![]() |
유죄 평결을 받고 법정구속된 데릭 쇼빈이 수갑을 차고 법정을 떠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평결에 대해 미전역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왔다. 팀 월츠 미네소타 주지사는 "정의를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아직 할 일이 남아 있다"고 했다. 미국 경찰 노조도 "재판은 공정했고 정당한 절차를 밟았다"고 성명에서 밝혔다. 미국 국제앰네스티는 "경찰 시스템의 실패를 해결하고 공공 안전을 실현하려면 법 집행에서의 뿌리 깊은 인종차별을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 |
뉴욕 시민 지브릴 모리스(가운데)가 20일 뉴욕 브루클린의 바클레이 센터 앞에서 데릭 쇼빈의 유죄 평결 소식을 듣고 기뻐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한 미니애폴리스 시민이 20일 쇼빈에 대한 유죄 평결 직후 조지 플로이드 광장에 꽃을 놓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미니애폴리스 시민들이 20일 조지 플로이드 광장에서 쇼빈에 대한 유죄 평결 소식을 전해 듣고 기뻐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미국 캘리포니아 시민이 20일 데릭 쇼빈에 대한 유죄 평결 뒤 거리에 분필로 "흑인, 단합"이라는 글씨를 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한 뉴욕시민이 20일 타임즈 스퀘어에서 "아직 정의가 아니다. 시작일 뿐"이라고 쓴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백악관에서 데릭 쇼빈의 유죄 평결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에 앞서 마스크를 벗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 바이든 대통령은 데릭 쇼빈의 유죄 평결 직후 백악관에서 입장을 밝혔다. "신분 지위를 막론하고 쇼빈의 범죄 행위를 증명해준 경찰관들에게 감사하다"는 말도 했다.
최정동 기자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