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주식 상속을 끝으로 삼성가 '세기의 상속'도 마무리됐다. 이번 상속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그 결과물들이 철저히 세간의 예상 밖이었다는 점이다.
어떤 예상들이었나. 예를 들자면 이렇다. '상속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유족들 대신 삼성물산이 이 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을 물려받을 것이다' '이 회장 사재를 출연하되 별도 재단을 세워 삼성이 관리할 것이다' '미술품 일부를 팔아 상속세 재원으로 활용하고 알짜는 리움미술관 등에 남길 것이다'….
이 모든 예상이 틀렸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꼼수로 오해받을 수 있는 어떠한 행위도 하지 않겠다는 유족들의 의지가 철저했던 때문이다.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예상과 달리 삼성전자 지분을 법정비율대로 상속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라고 생각한다. 추후 재상속 과정에서 발생할 세금 부담을 덜기 위해 본인 지분을 포기했다는 뒷말이 나올 것을 우려해 '절세 없는 상속'이라는 정공법을 택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거액의 상속세 납부와 기부 이면에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회장은 생전에 이미 환원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언론 인터뷰에서 "죽어서 입고 가는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는 것을 늘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고인의 뜻에 따라 이뤄진 환원을 '사면 물밑작업'으로 치부하는 것은 '사업보국(事業報國)' 정신으로 평생을 살다 간 고인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
[노현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