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이주열,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 첫 시사..."美와 별개로 우리 속도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리 인상, 경제 상황 전개에 달려"
"미 연준과 관계없이 우리 상황에 맞춰 결정"
한국일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했다.

이 총재는 2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5%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 시기를 단정할 수 없지만, 연내 (기준금리)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금리 인상을) 서둘러서도 안 되겠지만, 지연됐을 때의 부작용도 커, 실기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관계없이 별도로 금리를 조정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은 국내 금융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당연히 중요한 요인"이라면서도 "연준의 통화정책은 고려하되, 거기에 일대일로 매칭해서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상황에 맞춰 속도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금리가 올라가면 차입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이런 가계부채 증가세가 더 지속한다면 부작용이 상당히 크고, 더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해, 가계부채 증가세가 계속 지속되는 것은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올해 남은 4차례(7월, 8월, 10월,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변경을 결정하게 된다. 이주열 총재가 이날 기준 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한 만큼, 정부가 집단면역 형성 목표 시점으로 잡은 11월에 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민재용 기자 insight@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