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日 스가, 도쿄올림픽 有관중 개최 의지 활활…전문가들 “7·8월 재확산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시모토 조직위 회장도 “관중 상한 1만명으로 검토”

마이니치신문, 사설로 “무관중으로 개최를 요구한다”

헤럴드경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사태를 해제하며 관중을 수용하는 형태로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개최하려는 의욕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본 내 감염증전문가들은 무관중 개최 목소리를 더 높이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스가 총리는 전날 저녁 기자회견에서 올림픽 개최도시인 도쿄도(東京都) 등에 발령된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오는 21일부터 ‘만연 방지 등 중점 조치’(이하 중점 조치)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긴급사태 아래 단계인 중점 조치는 도쿄도와 오사카부(大阪府) 등 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적용되며, 기한은 다음달 11일까지다.

스가 총리는 중점 조치도 해제되면 대규모 이벤트 관중 상한을 1만명으로 한다는 정부 방침을 언급하면서 “도쿄대회의 인원(관중) 상한은 이런 룰에 근거해 결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올림픽에 관중을 들이는 것을 전제로 “항상 마스크를 쓰고, 큰소리 응원은 금지된다”며 “대회 조직위원회가 (이런)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도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 회장도 18일자 산케이신문과 인터뷰에서 대회 관중 상한을 1만명으로 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관중 상한은 오는 21일 일본 정부와 대회 조직위, 도쿄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대표가 참여하는 5자 회담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와 조직위는 경기장 정원의 50%와 1만명 중 적은 쪽을 관중 상한으로 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감염증전문가들은 그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코로나19 대책을 조언하는 분과회의 오미 시게루(尾身茂) 회장 등은 이날 “무관중 개최는 경기장 내 감염 확산 위험이 가장 적어 바람직한 개최방법”이라는 제언을 대회 조직위에 제출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분과회는 올림픽 때 관중을 입장시킬 경우 다른 대규모 이벤트보다 관중 상한을 엄격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감염 확산 조짐이 보이면 무관중으로 전환할 것도 제안했다.

감염증전문가들은 전국에서 분산 개최되는 프로야구 등과 달리, 올림픽은 개최도시인 도쿄도에서 집중적으로 열리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 확산 위험이 더 크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헤럴드경제

[EP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쿄도 의사회의 오자키 하루오(尾崎治夫) 회장도 “7~8월에는 리바운드(감염 재확산)가 올 것으로 예측된다”며 “(올림픽을) 개최한다면 무관중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의 유력지도 사설을 통해 도쿄올림픽 무관중 개최를 주장하고 나섰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날자 ‘무관중 개최를 요구한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개최하면 감염 확산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코로나 상황에서 대회를 연다면 무관중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와 조직위는 관중 상한을 결정한 후에도 도쿄도 등에 적용된 중점 조치가 다음달 23일 올림픽 개막 전에 해제되지 않거나 대회 중 감염 상황이 심각해지는 경우 등에 대비해 무관중으로 전환할 여지도 남겨둘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