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스가 '올림픽 관중 1만' 가닥...변심한 어용학자 '無관중' 고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가 총리, 도쿄올림픽 관중 1만 상한 가닥
日정부 전문가 회의 좌장, 무관객 개최가 바람직
7월부터 코로나 재확산, 8월 병상 압박 우려
인도 델타 변이, 샘플조사서 도쿄서만 77명 확인


파이낸셜뉴스

일본 정부의 코로나19대책 분과회의 오미 시게루 회장. 로이터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쿄=조은효 특파원】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도쿄올림픽 경기장에 최대 1만명까지 관중을 수용하기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일본 내 감염증 전문가들이 무관중 개최를 주장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18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코로나19 대책 분과회의 좌장인 오미 시게루 회장 등 감염증 전문가들이 올림픽 무관중 개최가 가장 바람직하며, 만일 관중을 입장시킬 경우에는 일반 이벤트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하다는 일명 '오미 제언'을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에 제출했다.

이 제언에서는 올림픽이 열리는 7월 하순부터는 인도형 델타 변이 코로나가 유행, 일본 전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전날까지 올림픽 개최 도시인 도쿄 내 인도 변이 코로나 확진자는 샘플 조사 결과, 77명으로 확인됐다. 최근 해외 방문 이력이 없는 감염자들이 대부분으로, 시중 확산단계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7월부터 본격화되는 재확산으로 8월에는 병상 압박으로 의료체제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때문에 코로나 확산 전조가 있으면 올림픽 개최 중이라도 적시에 긴급사태 선언을 재발령하고, 무관중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이니치신문도 이날 '무관중 개최를 요구한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코로나 상황에서 대회를 연다면 무관중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이낸셜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오미 시게루 코로나19 대책 분과회의 회장. 로이터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미 회장은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사무국장까지 지낸 감염증 전문가다. 지난 2006년 이종욱 WHO사무총장이 타계한 직후엔, 일본 정부가 후임 사무총장 후보로 밀었던 인물이다. 코로나가 확산된 지난해부터는 일본 정부에 조언하는 코로나 대책 분과회의 좌장을 맡고 있고 있다. 적극적 목소리를 내기 보다는 일본 정부의 판단을 추인하는 역할에 머물러, 어용학자라는 꼬리표가 따라붙었다. 긴급사태와 관련된 스가 총리의 기자회견 때엔 함께 단상에 올라, 곤란해 하는 총리를 대신해 마이크를 잡았다.

그런 그가 돌연, 공개석상에서 올림픽 불가론을 외치고 있어 스가 총리가 대노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오미 회장이 무관중 개최 등을 제언하고 있으나, 이미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관중 상한을 최대 1만명까지 상정하고 있다.

스가 총리는 전날, 오는 20일로 긴급사태를 종료하고 대신 그 아래 단계인 만연 방지 등 중점 조치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중점 조치까지 해제시에는 대규모 행사의 관중을 1만명으로 할 것이란 방침을 언급하며, "올림픽 인원(관중) 상한은 이런 룰에 근거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 회장도 이날 자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회 관중 상한을 1만명으로 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와 대회 조직위, 도쿄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의 5명의 대표는 오는 21일 회의를 열어 관중 상한을 최종 확정하게 된다. 현재로선 변심한 어용학자의 '무관중 개최' 고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