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가계·기업·정부 부채 5000조 넘었다…한은, 하반기 금리 인상 못 박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기업·정부 등 3대 경제 주체의 빚이 빠른 속도로 늘어난다. 한국은행이 펴낸 ‘2021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와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3대 경제 주체 총 부채는 5086조원으로 집계됐다.

가계·기업 부채를 합친 민간신용은 1분기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16.3%로 전년 동기 대비 15.9%포인트 급증했다. 자영업자 빚 등을 합친 가계 부채가 2045조원, 대출·채권·정부융자를 합산한 기업 부채가 2181조원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코로나19 대응 지출을 늘리며 지난해 말 기준 부채가 860조원까지 늘었다.

특히 민간 부채가 증가하는 속도가 우려된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BIS에 따르면 부채 증가 이상 징후를 나타내는 신용갭(민간 부채 증가율과 장기 추세 간 격차)은 지난해 18.4%포인트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2년 이후 가장 높다. 금융안정보고서는 주식과 부동산, 비트코인 등 주요 자산 가격이 오르며 빚을 내 투자하는 사람이 증가했고, 이것이 부채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한다. “금융 불균형 심화가 금융 안정, 거시경제에 미칠 영향에 주목해 금융 불균형이 더 심해지지 않도록 다각적으로 정책 대응 노력을 적기에 기울여야 한다”는 처방도 덧붙였다.

매경이코노미

현재 자산 가격 위험은 외환위기·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은은 주택 등 자산 가격과 가계신용, 은행 자본비율 등 39개 지표를 묶어 만든 ‘금융취약성지수(FVI)’를 새롭게 만들어 발표했는데 올 1분기 기준 FVI는 58.9다. 금융 취약성이 커질수록 값이 높아지는 지수로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41.9)보다 17포인트 높다. 금융위기 당시(2008년 9월, 73.6)보다는 낮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수 상승 속도가 유독 빠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산 거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한은은 금리 인상을 공식화했다. 6월 24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설명회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진 기자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115호 (2021.06.30~2021.07.06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