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단독] 김정은, 탈북민 사살령… 코로나 ‘공포 정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경 통제 등 권력 장악력 강화 나서”

美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 보고서

탈북 1000명대서 작년 229명 급감

세계일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북·중 국경 봉쇄 등에 따라 경비를 강화하면서 월경 통제를 어길 경우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등 장악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헤리티지재단이 최근 공개한 올리비아 이노스 동아시아연구원의 ‘북한의 기근을 경계해야 할 중대한 징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탈북자 수의 급격한 감소는 김정은이 탈북민에 대한 ‘사살 명령’(shoot-to-kill orders)을 포함한 국경 경비를 강화했기 때문”이라며 “김정은이 코로나19를 권력 장악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실로 이용했다”고 분석했다. 북·중 접경 인근의 목격담 등을 통해 사살이 있다는 전언은 있었지만 실제 권위 있는 기관이 이를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일 통일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30일까지 국내에 입국한 탈북민은 33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입국 탈북민이 많게는 1500명을 넘기는 등 꾸준히 1000명대를 유지하던 것이 지난해 229명으로 급감한 데 이어 올해는 100명도 넘기지 못할 전망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북·중 국경 봉쇄 이전 탈북민이 포함된 숫자”라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 주민들이 중국으로 건너가기 위해 국경경비대를 매수할 수 있었던 때와 달리 북한 정권의 강화된 경비가 국경을 넘는 것을 막고 있다”며 “사살 명령은 잔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피해를 준다”고 분석했다.

이노스 연구원은 김 위원장이 지난 4월 연설에서 ‘고난의 행군’을 언급한 데 대해 “인도적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상황의 심각성을 과장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고도 썼다. 북·중 국경 폐쇄로 장마당을 포함한 비공식 거래시장이 끊기면서 북한의 식량 불안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국경 경비 강화로 북한의 비공식 경제활동이 줄고, 탈북민 감소 등에 따라 북한 내부 정보 파악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한·미가 북한의 기근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