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문 대통령 방일시, 만남 거부 어려운 스가 총리, 문 대통령 방일 사실상 비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닛케이아시아 "IOC, 각국 정상 도쿄올림픽 참석 초청"

"문 대통령 방일시, 의전상 스가 총리 만남 거부 어려울 것"

스가, 위안부·징용피해자 선해결 입장 고수

"스가, 문 대통령 방일 경고하는 것과 동일"

아시아투데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오는 23일 개막하는 도쿄(東京) 하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을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고 일본 영자지 닛케이(日經)아시아가 5일 보도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지난달 12일 오후(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진행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 확대회의 1세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왼쪽부터 문 대통령·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오는 23일 개막하는 도쿄(東京) 하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을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고 일본 영자지 닛케이(日經)아시아가 5일 보도했다.

닛케이아시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각국 정상들과 다른 정부 관계자들의 도쿄올림픽 참석을 초청했다며 문 대통령이 방일할 경우 외교 의전에 따라 일본 측이 회담을 거부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일부는 믿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본은 한국으로부터 정식 요청이 없었다고만 할 뿐 문 대통령과 스가 총리와의 만남에 대해 아무런 확답을 주지 않고 있고, 한·일 정상 간 만남에 대한 일본 측의 약속이 없으면 문 대통령이 방일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닛케이아시아는 전망했다.

이어 이 신문은 “이제 모든 것이 스가 총리의 결정에 달려있다”며 스가 총리가 사실상 문 대통령의 방일을 거부하는 입장을 보였다고 밝혔다.

스가 총리는 한국 측이 위안부와 강제 징용피해자 등 미해결 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방안을 제시할 때까지 ‘결정’을 기다릴 것인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것이 나의 기본적인 생각”이라며 “국가 간 약속들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닛케이아시아는 전했다.

이는 많은 사람에게 스가 총리가 현시점에서 문 대통령의 방일을 경고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이 신문은 해석했다.

일본 정부는 징용 및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된 역사문제가 1965년의 한·일 청구권 협정과 2015년의 한·일 외교장관 간 합의 등으로 해결됐다며 이에 배치되는 한국 법원의 판단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보고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한·일이 지난달 11~13일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약식 한·일 정상회담을 가지기로 실무차원에서 합의했으나 우리 군이 같은 달 15일부터 독도 방어훈련인 ‘동해영토 수호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스가 총리가 문 대통령과의 짧은 만남도 삼가는 결정을 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측이 비밀에 부쳐진 ‘동해영토 수호훈련’에서 독도 상륙훈련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훈련 실시를 알게 된 일본은 상륙작전 미실시를 대단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닛케이아시아는 스가 총리가 문 대통령과 약식 회담을 했다면 G7 정상회의 폐막 이틀 후 실시된 ‘훈련’과 연계돼 심하게 비판받았을 것이라며 일본 정부와 여당인 자민당이 올가을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론에 유난히 민감하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독립 이후 많은 한국인에게 거의 신성시되고 있는 독도를 방어하기 위해 이미 설정된 훈련 일정이 일본에 대한 존중 측면에서 일부라도 변경됐다면 문재인 정부가 의존하고 있는 진보적 정치인 사이에서 비판이 분출했을 것이라고 닛케이아시아는 전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